[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부유물감김 사고가 최근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해양부유물 수거량도 2.5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어구보증금제 등 자율적 안전관리 강화에 나섰지만, 해양사고 선박 10척 중 1척은 여전히 부유물로 인한 피해를 겪고 있다.
|
 |
|
▲ 드론을 활용해 연안여객선터미널 주변 부유물 현황을 촬영한 모습./사진=KOMSA |
7일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에 따르면,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통해 최근 10년간(2015~2024년) 해양사고를 분석한 결과, 선박 설비에 폐어구‧어망‧로프 등 해양부유물이 감기면서 운항이 중단되는 ‘부유물감김 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전체 해양사고 선박 3만 766척 중 3437척(11.2%)이 부유물감김 사고를 겪었으며, 사고 건수는 2015년 249척에서 올해 468척으로 88% 급증했다. 대부분은 어구·어망(1394척), 로프(1038척)가 선박 추진기에 감기며 추진축계나 클러치 등을 손상시킨 경우였다.
사고는 어선을 중심으로 발생했지만, 여객선 등 다중이용 선박에서도 사례가 확인됐다. 특히 기상악화 시에는 선체 전복이나 충돌로 이어질 수 있어 자율적 예방조치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기후변화 등으로 해양부유물 자체도 빠르게 늘고 있다. 해양환경공단에 따르면 해양부유물 수거량은 2015년 4330톤에서 지난해 1만 630톤으로 2.5배 증가했다. 공단 관계자는 “사고 증가의 원인을 단순히 부정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조기경보의 관점에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 최근 9년간 해양부유쓰레기 조사 및 수거량과 기상특보 간 상관성./사진=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
정부는 어구실명제와 어구보증금제를 통해 폐어구 발생을 억제하고 자발적 회수를 유도하고 있다. 통발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보증금제는 2026년부터 자망‧부표 등으로 확대된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9월 ‘전 주기 어구순환관리 대책’을 수립해 어구의 생산부터 회수·재활용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고 있다.
공단은 MTIS를 활용해 부유물감김 사고 다발 해역을 시각화한 ‘디지털 부유물 현황도’와 종이 지도 2000부 이상을 어선·여객선에 배포하고, 바다내비와 GPS 플로터 등 항해장비 연동도 추진 중이다. 공공데이터포털 및 오픈API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개방해 민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외에도 연안여객선터미널 인근 부유물 현황은 드론 촬영을 통해 각 운항관리센터에서 선사와 공유되고 있다. 최근 목포운항관리센터는 대량 부유물이 유입된 해역 영상을 네이버밴드를 통해 선장들에게 전달한 바 있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부유물감김 사고는 어업인에게도 결국 피해로 돌아오는 만큼, 자율적인 수거 문화와 안전관리 체계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공단은 해양사고 예방과 지속가능한 수산업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