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 등 8개 기관과 42개월간 국제 공동연구 진행
[미디어펜=조태민 기자]현대건설이 온실가스 저감을 목표로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부유체 기반의 CCS(탄소 포집·저장) 기술 개발에 나선다.

   
▲ 현대건설은 14일 부유식 CCS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은 13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동남아시아 분산 CCS 저장소 운영을 위한 순차 이전 확장형 부유식 CCS 시설 및 CO₂ 주입 개념·기본설계 기술 개발’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현대건설은 한국석유공사, 미국선급협회, 서울대,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공사인 페르타미나 등 8개 민·관·학 기관과 42개월간 국제 공동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총연구비는 58억 원이다.

CCS는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모아 땅속 깊은 곳에 안전하게 주입해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번 연구는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의 고갈된 유·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은 바다 밑에 고정된 구조물과 배관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왔다. 하지만 동남아시아 지역처럼 저장소가 여러 군데 흩어져 있는 경우 모듈형 주입 설비를 순차로 이동시키며 활용할 수 있는 부유식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현대건설은 설명했다.

현대건설은 이번 연구에서 세계 최초로 부유식 콘크리트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주입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본설계승인(AIP)을 확보해 사업 모델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부유식 CCS 기술은 블루 수소, 블루 암모니아 사업에도 활용도가 높다. 수소나 암모니아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해양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면, 생산·저장·이송 전 과정의 탄소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은 이번 연구를 통해 부유식 수소 생산, 해상 암모니아 합성 설비 등 해상 탄소중립 클러스터까지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부유식 CCS 기술은 해상 토목과 다양한 플랜트 분야에 강점이 있는 현대건설이기에 가능한 의미 있는 도전”이라며 “이번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해 국내 CO₂를 해외로 이송·저장하는 ‘국경 통과 CCS’ 사업에 활용해 탄소배출권 확보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 탄소감축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삼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