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기반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금융·정책 논의… 2050 탄소중립 대응 방안 모색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을 활용한 기후위기 대응 방안이 국회에서 논의된다. 

   
▲ 해양 기후테크 미래 발전 전략 세미나 포스터./사진=KIOST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문대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갑)은 오는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해양 기후테크 미래 발전 전략 세미나’를 공동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해양기반 이산화탄소 제거(mCDR) 기술을 중심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해양과학의 역할을 논의한다.

세미나는 문대림 의원 개회사와 이희승 KIOST 원장 환영사로 시작해 △KIOST 임운혁 책임연구원의 ‘해양기후테크: mCDR 기술의 현재와 미래 전망’ △기후변화행동연구소 박현정 부소장의 ‘온실가스 감축기술 국제인증 현황과 mCDR 인증 과제’ △한양대학교 김진수 교수의 ‘mCDR 관련 금융시장 동향과 국내 투자 활성화 방안’ 발표가 이어진다.

mCDR(Marine Carbon Dioxide Removal)은 해양 생물학적·화학적 과정을 촉진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대규모로 제거하는 기술로, 차세대 기후테크로 평가받고 있다.

이희승 원장은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는 기후 조절 핵심 시스템”이라며 “과학적 해법이 정책에 반영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대림 의원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전 지구적 과제”라며 “이번 세미나가 해양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비전을 구체화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