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패전일 전몰자 추도사에서 13년 만에 '반성'을 언급했다. 하지만 과거 일본 총리들이 반성을 언급하면서 '침략' '가해' 등의 표현을 함께 썼던 점을 고려하면 식민지로 지배한 이웃 나라에 대한 반성의 의미로 보기엔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
 |
|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사진=일본 자민당 홈페이지 |
15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패전 80년을 맞아 도쿄 일본 무도관에서 열린 '전국 전몰자 추도식' 식사(式辭)에서 "전쟁의 참화를 결단코 되풀이하지 않겠다"며 "그 전쟁의 반성과 교훈을 이제 다시 가슴 깊이 새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80년간 우리나라(일본)는 일관되게 평화 국가로 걸어오며 세계 평화와 번영에 힘써왔다"고 강조했다.
일본 총리가 패전일 전몰자 추도사에서 '반성'이라는 단어를 언급한 건 13년 만이다. 하지만 일본이 일으킨 침략 전쟁으로 식민 지배를 당한 이웃 나라를 반성 대상으로 직접 언급한 것은 아니라는 평가다.
과거 일본 총리들은 패전일에 이웃 나라가 겪은 피해를 언급하고 반성의 뜻을 표명했는데, 지난 2012년 12월 아베 신조 총리 재집권 이후 이런 관행이 끊겼다.
호소카와 모리히로 전 총리는 일본이 일으킨 침략 전쟁으로 타국이 입은 피해를 1993년 패전일에 최초 언급한 바 있다. 호소카와 총리는 당시 "아시아의 가까운 여러 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모든 전쟁 희생자와 그 유족에 대해 국경을 넘어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전몰자 추도식에서 말했다.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도 1994년 당시 "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의 많은 사람에게 필설(筆舌·글과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비참한 희생을 초래했다"며 "깊은 반성과 함께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후 아베 전 총리가 재집권하고서 맞은 첫 패전일인 2013년 8월 15일 당시 일본은 타국에 피해를 준 사실과 반성의 뜻을 표명하지 않았다. 이후 가해와 반성의 표현은 사라졌고,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도 이 같은 기조를 이어갔다.
반면 일왕은 전몰자 추도식에서 '반성'을 언급해왔다. 나루히토 일왕은 이날 추도식에서도 "과거를 돌아보고, 깊은 반성 위에 서서 다시 전쟁의 참화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절실히 바라며"라며 지난해에 이어 '반성'을 언급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각의(국무회의격)를 거친 총리 담화를 발표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시바 내각은 총리 담화를 비롯해 역사 인식에 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승해나갈 것"이라고만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원래 패전 80년을 맞아 총리 담화 발표를 검토했다. 하지만 옛 아베파 등 집권 자민당 내 보수세력의 반발을 고려해 발표를 보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시바 총리는 추후 별도 개인 메시지를 내는 방안은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또한 당내 보수세력의 반대로 불투명한 상황이다.
과거 일본 총리들은 전후 50년이던 1995년을 기점으로 매 10년마다 종전일 무렵 각의를 거쳐 담화를 발표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전후 50년 담화'를,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는 '전후 60년 담화'를 각각 발표하며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와 반성의 뜻을 표했다. 아베 전 총리도 2015년 '전후 70년 담화'에서 "우리나라는 지난 대전에서의 행동에 대해 반복적으로 통절한 반성과 진심 어린 사죄의 마음을 표해 왔다"며 '과거형'으로 사죄하고, 후대에 사죄를 계속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