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의 영업점 협업제도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보고서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국내은행의 영업점 협업제도가 도입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공동 성과에 대한 개별 평가의 한계와 이중적 보고 체계로 인한 비효율성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영업점 협업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선 영업점 핵심성과지표의 조정 등 은행 인프라의 전반적인 업그레이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 국내은행의 영업점 협업제도가 도입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사진=김상문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국내은행의 영업점 협업제도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4대 시중은행이 2016년부터 신한은행을 선두로 커뮤니티 제도(신한), PG 제도(국민), VG 제도(우리), 컬래버 제도(하나)라는 이름으로 영업점 협업제도와 유사한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으나 현재까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영업점 협업제도가 국내에 정착되지 못한 주요 원인으로는 공동 성과에 대한 개별 평가, 중적 보고 체계로 인한 비효율성, 비대면 거래 확대로 인한 협업 필요성 감소 등이 꼽힌다. 특히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은행의 비대면 거래가 크게 확대됐고, 비대면 거래의 경우 영업점보다는 본부의 마케팅 능력에 실적이 좌우되는 경향이 커 영업점 간 협업의 필요성이 줄어든 것으로 지적됐다.

다만 보고서를 작성한 김우진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국내은행의 성장성이 당분간 정체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영업점 협업제도가 합리적인 비용관리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저수익 영업점을 즉각 폐업하기보다 인근 점포와 연계를 강화해 역할을 재조정하고, 다운사이징 등을 통해 비용을 통제함과 동시에 지역 내 대고객 서비스를 충분히 유지함으로써 사회적 비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영업점 협업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영업점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재설정과 인사관리 시스템의 고도화등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우선, 영업점 직원의 KPI에 협업 관련 평가 가중치를 높임으로써 클러스터 내 영업점 간의 협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기적으로는 영업점 협업제도로 인한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인사 시스템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매니저 직군을 도입해 영업점 관리기능만 전담하도록 조치해 기존 협업제도에서의 그룹장과 영업점장 간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며 "영업점 목표를 부여하는데 있어 절대평가 방식을 변경하고, 전문직군을 중심으로 직원에 대한 개인평가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것도 방안이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