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정부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 재편 방안을 늦어도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다.

   
▲ 정부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 재편 방안을 늦어도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다./사진=김상문 기자


17일 관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 간, 기업 내 자발적 사업 재편을 위해 각종 금융과 자금 세제 등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의 '석유화학산업 구조 재편 방안'을 마련해 관계부처, 업계와 최종 조율에 들어갔다.

한국화학산업협회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을 통해 진행한 컨설팅 용역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 기업의 영업손익과 재무 상황을 고려했을 때 현재의 불황이 이어진다면 3년 뒤에는 기업의 절반은 지속이 불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작년 말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한 데 이어 BCG그룹 보고서, 업계 간담회 등을 통해 석유화학 산업의 사업 재편을 유인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이달 산업부가 발표하는 구조 개편 방안은 기업의 자발적 사업 재편 추진을 추동하기 위한 각종 인센티브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개별 기업의 구체적인 구조조정 계획·수치도 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기업들의 신속한 사업 재편을 촉진하기 위해 합작법인 설립, 신사업 M&A 추진 시 기업결합심사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공정거래위원회 컨설팅을 지원하고, 사업 재편을 위한 정보 교환에 대한 사전 심사를 간소화하는 등 규제 문턱을 낮출 계획이다.[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