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18일 국무회의에서 “언론이 정부를 감시, 견제하는 역할도 중요하지만 고의적인 왜곡 및 허위정보는 신속하게 수정해야 하며, 그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하는게 마땅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문화체육관광부의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 보고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열어 “문체부의 보고 이후 국무위원들의 자유토론이 이어졌다”며 “정부의 광고 집행이 달라진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 정책에 대해 사실이 아닌 내용이 보도될 경우 이를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정부 부처의 홍보 실적 평가기준을 재점검해야 한다”면서 “각 부처별 자체 홍보 수단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해 보고해달라”고 지시했다.
|
 |
|
▲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을지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8.18./사진=연합뉴스
|
이어 이 대통령은 “정부 정책을 국민께 정확하게 설명하고, 정책 효과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게 중요하다”면서 “돈을 주고 홍보하는 것보다 직접 국민과 얼굴을 맞대고 소통하는게 중요하고, 공급자의 편의보다 수용자인 국민 입장에서 끊임없이 고민해 더 나은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민감한 핵심 쟁점인 경우 국민께 알리는 공론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면서 “최대한 속도를 내더라도 졸속화되지 않게 잘 챙겨달라”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무위원들의 토론 과정에 캐나다와 영국 등의 국가에선 정부 광고 중 디지털 광고 비중이 65%에 달한다는 (문체부의) 보고를 짚으며, 정부 광고 효과를 제3의 기관이 검증해 광고 집행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말했다.
문체부가 마련한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은 정책 홍보 강화, 정부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부 부처와 장·차관의 SNS를 활성화하는 등 디지털 중심으로 정부 홍보 기조 대전환, 범정부 차원의 홍보 지원 시스템 혁신, 디지털 소외계츨에 특화된 홍보를 추진하는 등 정부 홍보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방안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