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북핵 해결 진전 도모가 가장 중요한 과제"
"한미, 대북 억제 태세 유지…미래지향적 동맹 현대화"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조현 외교부 장관은 18일 북핵 문제 해결과 관련해 “동결→감축→폐기로 이어지는 단계적 비핵화 전략과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의 건설적 역할 또한 견인하겠다”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업무보고 자료에서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의 실질적 진전을 도모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조 장관이 단계적 북핵 비핵화를 언급한 것은 현재 핵보유국을 주장하는 북한의 입장을 감안할 때 일괄타결식의 ‘빅 딜’보다 작은 합의를 반복하는 ‘스몰 딜’ 접근법을 쓰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조 장관은 “대화 진전 시 남북대화와 북미 협상을 병행 추진해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구조 구축 프로세스가 상호 추동해 함께 진전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나가고자 한다”고 했다.

특히 “고위급에서 한미 간 일치된 대북 정책 기조를 확인하고 긴밀한 한미공조를 바탕으로 북핵 대화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덧붙였다. 

   
▲ 조현 외교부 장관이 18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4 회계연도 결산 관련 제안 설명을 하고 있다. 2025.8.18./사진=연합뉴스

조 장관은 오는 25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선 “한미동맹을 안보·경제 동맹에 더해 기술 동맹으로 확대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면밀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로 알려진 ‘동맹 현대화’에 대해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와 높은 수준의 확장억제 협력 등 확고한 대북 억제 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변화하는 안보환경 속에서 미래지향적 동맹 현대화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조 장관은 오는 23~24일 열릴 예정인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양국간 미래지향적 협력의 발판을 공고히 하고 한일 및 한미일 공조 강화 방안도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일) 정상간 셔틀외교 등 고위급 교류 활성화와 경제, 문화, 미래세대 교류 등 다양한 협력 사업도 추진해 나가겠다”며 “과거사 현안에 대해선 우리의 일관된 입장에 따라 대응하면서 미래지향적 협력을 이어나가겠다”고 대일 ‘투 트랙’ 기조를 재확인했다.

조 장관은 한중관계에 대해선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성숙한 발전을 추진하겠다”며 “10월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11년 만의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방한을 성사시켜 한중 정상 교류를 복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대러외교에 대해선 “우리 국민·기업의 권익 보호 및 이를 위한 대러 소통을 지속하는 한편, 우리 안보를 위협하는 러북 군사 협력에 대해서는 단호한 반대 입장을 견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