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우리나라 거주자의 대외 금융자산과 증권투자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매입이 이어진 영향이다.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외국인의 한국 증권 투자(대외금융부채) 증가 등으로 두 분기 연속 줄었으나, 세 분기째 1조달러 이상을 유지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한 국가의 대외 지급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6월 말) 기준 우리나라 대외 금융자산(대외투자)은 2조6818억달러로 집계됐다. 1분기 말(2조5168억달러)보다 1651억달러 많은 사상 최대 규모다.

거주자의 증권투자 잔액은 1조1250억달러로 한 분기 사이 1132억달러(지분증권 +956억달러·부채성증권 +175억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 잔액은 848억달러로, 자동차·이차전지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264억달러 늘었다.

대외금융부채(외국인 국내투자·1조6천514억달러)도 2186억달러 늘었다. 2020년 4분기(+2403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증가 폭이다.

비(非)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1조510억달러)가 1860억달러(지분증권 +1477억달러·부채성증권 +383억달러), 직접투자(잔액 3천172억달러)가 261억달러 각각 늘었다.

대외금융부채 증가 폭(+2186억달러)이 대외금융자산 증가 폭(+1651억달러)을 웃돌면서,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1조340억달러로 1분기보다 536억달러 줄었다.[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