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국내 석탄산업 조기 종료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화순·태백·삼척을 대상으로 하는 폐광지역 경제진흥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돼 대체산업 육성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열린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조기폐광지역인 화순·태백·삼척 대상 총사업비 1조722억 원(2026~2030) 규모의 '폐광지역 경제진흥 개발사업' 3개 사업 예타가 통과돼 대체산업 육성이 본격 개시됐다고 밝혔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3일 나라재정 절약 간담회에서 에너지 전환과 효율적 재정 운영을 위한 석·연탄 관련 보조금을 단계적으로 폐지해 국내 석탄산업을 조기 종료하고, 폐광지역에 대한 대체산업 마련을 지시한 바 있다.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산업부는 연탄 생산보조금을 2년 내로 조기에 폐지할 예정이며, 석탄 생산보조금 폐지 방안에 대해서도 재정 당국과 논의 중이다.
폐광지역 경제진흥 개발사업은 대한석탄공사 조기폐광에 따라 주력산업이 사라져 인구 유출과 경기 침체가 예상되는 3개 조기폐광지역(화순·태백·삼척)에 대체산업을 마련하기 위해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한 사업이다.
세부적으로 화순은 농공단지·스마트팜 중심의 바이오·식품 클러스터를, 태백은 국내 최초 청정메탄올 제조시설과 핵심광물 산업단지 등 미래자원 클러스터를, 삼척은 중입자 가속기 기반 의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3개의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지역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각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으로 기획됐다.
윤창현 자원산업정책국장은 "경제진흥 개발사업은 석탄산업이 종료되는 과정에서 폐광지역 주민들이 겪는 경제적·사회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대책"이라며 "이번 예타 통과로 사업이 본격화되면 폐광지역에 새로운 산업생태계가 조성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 지역 균형 발전 등 효과가 기대된다"고 했다.
산업부는 향후에도 폐광지역 대체산업 육성을 포함해 단계적인 국내 석탄산업 종료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