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한반도 정책과 관련해 북한 핵·미사일 동결, 축소, 비핵화로 이어지는 3단계 비핵화 해법을 밝혔다.
대통령실은 21일 이 대통령이 일본 방문을 앞두고 지난 19일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가진 인터뷰 내용을 요약본 형태로 배포했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 대통령은 ‘미북 대화가 북핵을 용인하는 방향으로 간다면 좋지 않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정책적 방향은 한반도 비핵화”라면서 “1단계는 핵과 미사일에 대한 동결, 2단계는 축소, 3단계는 비핵화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정부는 미국과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적극적인 남북대화를 통해 핵을 동결, 축소, 폐기까지 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은 대한민국에서도 중요하지만 일본,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대북 대결 정책보다는 평화적으로 서로 공존하고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공동 번영의 길을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한발 앞서서 문을 열고, 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내고, 적대감을 완화해 나가는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
▲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9일 서류를 보며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는 모습을 20일 SNS에 공개했다. 2025.8.20./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SNS]
|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일제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추진된 제3자 변제나 위안부 합의를 유지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국민으로서 매우 가슴이 아픈 일이다. 경제적 문제이기 이전에 감정의 문제이므로 진심으로 위로의 말을 건네는 것이 중요하다. 배상의 문제는 오히려 부수적인 문제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15년 합의가 양국 정부간 공식 합의라는 역대 우리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단, 해당 합의가 국민적 동의를 충분히 받지 못했고, 피해자분들도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 부분은 명확한 한계”라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 합의의 외교적 의미를 비롯해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라는 기본 정신을 함께 존중하는 동시에, 피해자의 온전한 명예 회복을 위한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해나가고자 한다”면서 “사과는 상대의 다친 마음이 치유될 때까지 진심으로 하는게 옳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시바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갖는 것과 관련해 “취임 후 이시바 총리와 가장 먼저 통화를 했고,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이시바 총리와 첫 회담을 가졌다. 취임 이후 첫 번째 양자 방문국도 앞마당을 함께 쓰는 이웃 일본”이라며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한일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의지를 피력해왔다.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관계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한일 관계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로 대전환되기를 바란다”며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고, 이를 넘어서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만들고자 한다.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인터뷰에서 한중 관계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이 대통령은 ‘과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중국이 한국에 강경 입장이었는데, 대중관계를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란 질문에 “중국은 지리적·경제적으로 뗄 수 없는 가까운 존재”라면서 “한중관계는 경쟁·협력·대결·대립적인 측면이 함께 존재한다.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관리를 해야 한다”고 답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