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과 컨소시엄 구성… 1조7775억원 규모 EMS 체계개발 사업 수주전 본격화
[미디어펜=이용현 기자]대한항공이 방산기업 LIG넥스원과 손잡고 대한민국 공군의 전자기 스펙트럼(EMS) 전력 확보를 위한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 수주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제안서는 오는 9월 초 최종 제출될 예정이며, 정부는 총 1조7775억 원을 투자해 국내 업체 주도로 사업을 추진한다.

   
▲ 대한항공-LIG넥스원의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 예상도./사진=대한항공


21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전 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될 경우 대한항공은 기체 개조 및 제작, 체계통합을 맡고 LIG넥스원은 전자전 장비 개발과 탑재를 담당한다.

전자전기(Block-I)는 항공기에 전자기전 임무 장비를 탑재해 적의 위협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공격(jamming)을 통해 적의 방공망과 통신체계를 마비시키는 특수임무 항공기다. 이는 미국 공군의 EA-37B 외에는 사례가 드물어 세계적으로도 고난도 사업으로 평가된다.

공군은 고도·속도·작전 지속시간 등 요구 조건을 고려해 신규 기체 개발보다 기존 플랫폼 개조가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 대한항공은 이미 보잉 B777과 에어버스 A330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며 감항인증을 획득한 경험이 있어, 이번 사업에서도 안정성과 기술력을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대한항공이 지난 50여 년간 군용 항공기 체계개발, 정비, 성능개량을 수행하며 민항기 개조 분야에서 독보적인 역량을 쌓아온 점도 주목된다. P-3C 해상초계기 성능개량, 백두 1차 사업, 대통령 전용기 정비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군용화 기술을 축적했으며, 최근에는 UH-60 다목적 헬기 성능개량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특히 대한항공은 항공기 유지·보수·운영(MRO) 분야에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정비 단지를 인천에 건설 중이다. 완공 시 연간 360대의 엔진 정비가 가능해지며, 글로벌 MRO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무인기 분야에서도 대한항공은 중고도 장기체공형(MALE) 무인기 KUS-FS를 개발해 2022년 양산에 돌입했으며, 2028년까지 공군에 약 10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미국 AI 방산기업 안두릴과 협력해 자율비행 기반의 한국형 무인기 공동 개발 및 아태 지역 수출을 추진 중이다.

대한항공은 이번 사업을 통해 우리 군의 전자기 스펙트럼전 수행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자주국방 실현에 기여할 계획이다. 동시에 LIG넥스원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유·무인 특수임무기 사업을 확장해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과 수출 기회도 적극 모색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전자전기 사업은 국내 최초이자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도전”이라며 “대한항공이 지난 50여 년간 축적한 기술력과 인프라로 우리 군의 첨단 전력 확보에 앞장서고, 나아가 대한민국 방산 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용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