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 자원 수소, 무공해 천연 친환경성 ‘으뜸’

[미디어펜=김태우기자]친환경차량인 전기차와 수소연료전지차중 앞으로 미래를 이끌어갈 친환경차는 수소차가 더 유망주가 될 것이다.

기존 차량과 비슷한 충전시간과 함께 지구상 가장 많은 물질이기도 한 수소의 미래 가능성이 더 밝기 때문이다.

   
▲ 토요타의 보급형 수소연료전지차 미라이/미디어펜DB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친환경차량과 관련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각광받는 전기차 보다 앞으로는 수소연료전지차가 더 큰 영향력을 행사 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선 전기차 먼저 발전하는 듯 보이겠지만 에너지가 생성되는 기초단계부터 마지막 배출까지 무공해연료로는 전기보다 수소가 더 친환경적이기 때문이라고 업계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전기차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에너지를 차량배터리에 충전시켜뒀다가 활용하게 되는데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미 원자력에너지이나 화석연료 등을 사용하며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반면 수소의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고 이 방법들 중 이산화탄소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 물에서 수소를 전기분해 할 경우 산소와 수소만 발생돼 완전무공해에 가까운 방식으로 추출이 가능한 연료이기 때문이다.

또 이용하는 방식에 편의성 또한 전기차 보다 수소연료전지차가 유리하다. 연료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편의성에서 오랜시간 충전을 해야하는 전기차와 달리 기존 가솔린이나 디젤과 같은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해 시간과 활용도 면에서 수소연료전지차가 더 편리하다.

이 밖에도 지구상에 가장 많이 분포된 원료인 수소를 얻는 방식부터 다양하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연구개발을 통해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중요한 연료를 얻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수소는 같은 형태로 존재할 때 동일양의 화석 연료보다 3배가량 높은 밀도를 지니고 있어 보다 효율적이라는 점도 수소연료의 매력이다. 동일한 양의 연료탱크에서 3배 가까운 효율을 보인다는 말이다.

또 수소연료가 발달을 하게 되면 세계 모든 나라가 에너지 생산국으로 발달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갖게 된다. 이런 장점들 때문에 일본과 한국을 중심으로 수소연료의 발전을 위해 노력중이고 자동차를 넘어 가정용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

이에 일본 정부는 ‘수소사회’ 로드맵을 발표하고 각종 정책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일본 정부는 수소충전소를 2015년 100기, 2025년 1000기, 2030년 3000기를 설치키로 했다. 충전소 1개당 최대 2억8000만엔(26억2376만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한다. 또 올해 수소차 보조금으로 지난해보다 3배 늘어난 400억엔(3748억원)을 책정했다.

우리 정부는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를 200기 보급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지만, 책정된 예산이 없다. 정부의 지난해 수소차 보급 관련 예산은 34억8000만원에 불과했고, 내년 예산은 34억5300만원으로 줄었다. 수소충전소 1개를 지을 금액에 불과하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도 2020년까지 수소충전소를 10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독일은 시범 프로젝트 차원에서 120대의 수소차를 운행하고 있고, 2017∼2018년 다임러 등의 수소차 출시에 맞춰 수소충전소를 70∼1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 관계자는 “수소연료는 지구상에 가장 많은 원소로 어느 곳에도 존재한다는 장점과 이용범위가 광범위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현재 개발된 수소연료전지차 시스템을 활용해 세단과 SUV 등 다양한 차종에 적용을 위해 꾸준히 노력중이다. 또 차량의 전력을 활용해 집안의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구상 중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