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산림청은 기후위기와 생태계 위기 속에서 국내 자생식물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활용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한국식물보전전략 2030(KSPC 2030)’을 수립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식물보전전략은 식물다양성 확보와 식물종 상실 방지를 목표로 지난 2002년 제6차 생물다양성협약(CBD)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된 세계식물보전전략에 기반한 우리나라 식물보전을 위한 실행전략이다.
|
 |
|
▲ 한국식물보전전략2030 인포그래픽./자료=산림청 |
산림청은 2008년 ‘한국식물보전전략(KSPC)’을 수립한 이래 지속적인 개정과 이행을 통해 보전 기반을 마련해왔다.
이번 전략은 2022년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의 목표와 연계한 식물 중심 실행전략으로 구성됐다.
전략으로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협 감소 △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및 이익 공유를 통한 인류의 필요 충족 △보완조치 이행과 식물보전 주류화를 위한 전략과 실행 방안 등이 3대 목표다.
특히 이번 수립내용에는 3대 전략 목표 아래 식물다양성의 보전·복원, 지속가능한 이용, 정보와 지식의 확보·공유, 교육과 참여 확대, 정책 기반 강화 등의 21개 실행 과제가 있으며,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인 산림 OECM 기반의 보전체계 확장과 함께 침입외래종과 생물학적 침입의 해로운 영향 해결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자체, 시민사회, 수목원, 연구기관 등 다양한 보전 주체들이 목표 과제에 대한 자체 실행계획을 마련함과 동시에 국제사회의 이행 체계인 국가생물다양성전략(NBSAP)과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했다.
최영태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이번 전략을 통해 국가 차원의 실행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국제사회의 보전 체계와 발맞춰 나갈 것이다”라며, “식물 보전이 정책과 현장, 사회 전반으로 확산돼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행동전략으로 전환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