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중심 발굴체계 가동해 위험요소 사전 예방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 현장에 숨어 있는 위험요소를 찾아내고 재난으로 확대되기 전 예방하기 위해 ‘해양수산분야 잠재재난 발굴·관리 추진계획’을 마련했다고 26일 밝혔다.

   
▲ 해양수산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최근 집중호우와 폭염 같은 이상기후와 함께 △해상풍력 △자율운항선박 등 해양 신산업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유형의 재난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예측‧예방 중심의 재난관리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우선 해수부 차관을 단장으로 민·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발굴추진단을 꾸려 전국 해양수산 시설을 직접 점검하고 종사자 면담을 통해 현장의 위험요소를 찾아낸다. 또 매년 소속·산하기관 직원을 대상으로 잠재재난 발굴 공모전을 열어 일상과 업무 현장 속 위험을 발굴한다.

발굴된 위험요소는 잠재재난 평가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관리가 필요한 유형을 선정한다. 특히 고위험 요소로 판정된 경우에는 법정 재난관리 유형으로 지정해 관계부처와 협력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현장에 잠재된 작은 위해요소가 누적되면 재난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계획을 통해 위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해양수산 현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