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 대응 제도 개선 논의
[미디어펜=김소정 기자]국가안보실은 1일 최근 주요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국가 정보보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범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사이버 안보 현안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주재로 열린 사이버 안보 현안 점검회의(이하 점검회의)에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찰청 등 10개 부처가 참여했다.

안보실의 점검회의에선 AI를 기반으로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정보보호 및 사이버 안보 강화 방안이 논의됐다.

   
▲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에게 업무 지시를 하는 모습을 15일 SNS에 공개했다. 2025.8.15./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SNS]

안보실은 민간·공공의 핵심인프라와 중소기업 등 사회 전 분야의 보안 수준을 제고할 방안, AI 기반 공격 및 소프트웨어 공급망 위협 등 신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제도 개선 방안, 기업·기관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및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CPO)의 책임성을 강화할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또한, 지속적인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 배후 해킹 조직 대상 능동적 방어 기반을 구축하고 주요국과의 국제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정보보호산업 육성과 인력 양성 및 기술 개발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하며 구체적인 정책 과제를 마련해 시행해 나가기로 했다.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은 “AI의 발전과 함께 사이버위협도 지능화·고도화되고 있으며, 민생의 안정과 기업의 생존, 그리고 국가의 안보를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이 반드시 담보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오 차장은 이어 “사이버 공격에도 사회가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기능을 이어갈 수 있도록, 굳건한 사이버 복원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안보실은 관계부처와 함께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을 지속 마련·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국가안보실은 새정부 출범 이후 SKT 해킹 사고 관련 재발방지대책을 관계부처와 마련했고, 서울보증보험 및 예스24 랜섬웨어 감염, 정부시스템 대상 사이버공격 등 최근 발생한 주요 사이버 공격에 집중 대응해 왔다.

국가안보실은 또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과 관련한 국민들의 악성 스미싱 피해 방지를 위한 노력을 전개했고, APEC 정상회의(10.31~11.1)와 관련된 기관 및 시스템의 보안도 강화하고 있다. 

을지연습 기간에는 국가 차원의 유기적 사이버 공격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안보실을 중심으로 민관군 합동 사이버위기 대응 훈련(8.18~19)도 실시했다.
  
국가안보실은 향후에도 점검회의를 통해 사이버 안보 관계 부처들과 사이버 위협 대응 및 주요 정책현안 논의를 수시로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