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공공비축 시행계획’ 국무회의 의결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공공비축 매입물량과 매입가격 등을 포함한 ‘2025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전경,/자료사진=농식품부


정부는 기후변화, 천재지변 등으로 식량 부족 시를 대비해 주요 식량을 비축하는 공공비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일 국무회의를 통해 의결된 비축 물량은 쌀 45만 톤, 콩 6만 톤 등이며, 향후 세부계획을 수립해 매입할 계획이다. 

매입가격은 수확기(10~12월) 평균 산지쌀값을 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결정하고, 매입 직후에 농가에게 중간 정산금으로 포대(40㎏ 기준)당 4만 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친환경벼 전환 농가가 희망 시 전량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친환경쌀 매입 가격을 일반벼 대비 등급별로 5%p 가격을 추가 지급한 데 이어, 매입 물량을 확대함으로써 고품질쌀 생산을 지속 유도하려는 취지다. 

올해 쌀 매입물량은 지난해와 동일한 45만 톤이며, 이 중 가루쌀 매입계획량은 5만 톤이다. 시·군별 매입 물량은 지난 2월에 배정된 바 있으며, 친환경 쌀의 경우 인증 시기 등을 고려해 추후 배정될 계획이다. 

매입품종은 다수확 품종을 제외하고 삼광, 새청무, 일품 등 각 시·군에서 사전에 정한 2개 품종으로 제한하며, 지정된 품종 이외의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할 경우 농가는 다음 연산 매입 시부터 5년간 공공비축미로 출하할 수 없게 된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올해 매입한 공공비축미는 향후 국내 수급상황에 맞춰 군급식, 가공용, 주정용, 식량원조용 등으로 판매할 계획”이라며, “올해 콩 생산량 확대에 맞춰 비축 물량 또한 6만 톤으로 계획함에 따라 콩 수급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