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부가 일제 강점기 한국인의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일본이 주관해 열릴 예정인 추도식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불참하기로 결정했다.
정부 관계자는 4일 기자들을 만나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지만, 양측이 추도사 내용 중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11월 열린 첫 추도식도 명칭과 일정, 추도사 등에서 한일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했고, 결국 한국 정부가 불참을 결정한 바 있다.
일본은 작년 추도사에서도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표현만 넣고, 이들이 사도광산에 '강제'로 징용됐다는 표현은 넣지 않았다.
일본은 올해 추도식을 오는 13일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추도식 전까지 이견을 해소해 참석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으며, 이에 따라 불참 결정을 이날 오전 일본 측에 통보했다고 한다.
|
 |
|
▲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열린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 참석자들이 추도식 후 갱도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2024.11.25./사진=연합뉴스
|
대신 정부는 유족에게 자체 추도식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알렸다. 한국의 자체 추도식은 올해 가을 중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은 이날 "안타깝고 아쉽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굉장히 진일보한 (방향으로) 한일 관계에 변화가 있었다고 확인했고,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를 보는 관계로 가기로 했지만, 안타깝다"면서 "강제성이란 용어는 15년 전만 해도 일본이 인정하기도 했던 용어"라고 밝혔다.
또 "조금 더 보태자면, 결국 일본 역시 국내 정치의 문제가 상당 부분 외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지 않나 하는 나름의 짐작을 해본다"고 덧붙였다.
사도광산은 작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일본은 한국 동의를 얻기 위해 희생자 추도식을 매년 열기로 하고,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를 약속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