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태민 기자]건설업 취업자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공사비 상승,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등이 건설업 폐업으로 이어지고, 이런 불황이 건설업계에 고용 한파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
|
▲ 건설침체로 고용한파가 이어지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5일 한국고용정보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건설업 취업자 수는 193만9000명으로 지난해 대비 14만6000명이나 감소했다. 이는 외환위기 여파가 이어지던 지난 1999년 상반기 27만명 감소 이후 26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건설업 부진이 고용 시장 악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공사비 상승, PF 부실 등으로 회사 운영이 힘들어져 폐업하거나 신규 유입이 감소하면서 고용 시장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4개월째 내림세를 지속하면서 60선대를 기록, 어려운 건설경기 흐름이 지속되고 있음을 증명했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 확인 결과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 5일까지 건설업 신규등록(변경, 정정, 철회 포함) 건수는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 19일까지 건설업 신규등록(변경, 정정, 철회 포함) 건수는 5960건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6737곳이 등록한 것과 비교하면 약 11% 감소한 것이다.
당분간 일자리 감소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 브리프에서는 건설업 연간 취업자 수를 지난해보다 4.8%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을 확대 편성하고 발주 시점과 예산 집행 속도를 앞당겨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 29일 내년도 SOC 예산으로 올해보다 2조 원 많은 27조5000억 원을 편성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내년 총지출 예산안인 728조 원이 올해 대비 8.1% 증가한 반면, SOC 예산은 7.9% 증가에 그친 데다 국방(8.2%), 복지(8.2%) 보다 예산이 낮게 책정돼 건설경기 회복에는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다고 업계는 지적했다.
특히 침체의 주원인 중 하나인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년 7조3000억 원 대비 감액 편성된 도로 부문 예산 6조3000억 원을 다시 확대하는 등 총예산을 30조 원으로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건설업은 우리 경제 내수의 한 축”이라며 “건설업계가 다시 일어나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건설업을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전사고만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닌 만큼 정부가 안전에 대한 관심을 쏟는 것처럼 건설산업에도 관심을 두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건설업 고용은 임시·일용직 비중이 높아 경기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현장 공사 물량이 줄면 일자리에 곧바로 영향을 주기에 불황이 지속될 경우 고용 시장의 한파는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