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기후변화로 인해 고랭지채소 재배에 부적합한 농지가 증가하고, 이상기후와 계속된 연작으로 단위면적당 수확량(생산단수)이 급감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고랭지채소 주산지인 강원특별자치도의 2024년 재배면적은 10년 전 대비 76% 수준으로 줄었다.
재배면적과 생산단수 감소로 인한 공급 불안정성은 생산자 소득 감소, 유통의 예측 가능성 저해, 소비자 후생 감소 등 생산·유통·소비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어, 정부·생산자·유통업계·소비자들이 변화하는 기후에 맞게 각자의 자리에서 역할을 다하며 유기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가 9일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기후변화 대응 고랭지채소 생산안정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고랭지채소의 안정적 생산을 도모하기 위해 기관별 지원 정책과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
 |
|
▲ 기후변화 대응 고랭지채소 생산안정 대토론회 포스터./자료=농식품부 |
토론회에는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관계 부처와 유관기관, 주요 생산자단체, 유통업체 등 관련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해, 기후대응 기술과 정책·제도 지원이라는 두 가지 주제로 나눠 관련 안건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며 폭넓은 논의를 나눴다.
토론회에 참석한 생산자들은 사전 예방 중심의 토양 병해충 관리와 기후변화에 적합한 품종과 농업자재 선택, 작기 조절을 하면 급변하는 환경에서도 얼마든지 안정적 생산이 가능하다는 전제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농협과 도매시장 등 유통업계도 기후적응 신품종 유통, 새로운 재배 적지를 발굴하고, 극한의 가뭄과 집중호우 등으로 농가들이 정상적인 출하가 불가하다고 판단되면 출하장려금, 농자재 지원 등의 상생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지자체는 기후적응형 품종 및 재배기술 개발·보급을 지속 추진하고, 토양 개선을 위한 약제·영양제를 지원하며, 농업 지속성을 위한 농업소득 안정장치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특히 주요 수급사업인 채소가격안정제를 노지채소뿐만 아니라 사과·배 등 과수까지 대상 품목을 확대해 재배면적 및 생육 관리 중심의 ‘원예농산물 안정생산공급 지원사업’으로 개편·추진하고, 농업수입(收入) 안정보험을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품위와 가격 정보 제공도 확대할 계획이다.
|
 |
|
▲ 농식품부가 9일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기후변화 대응 고랭지채소 생산안정 대토론회’를 개최했다./사진=농식품부 |
이날 김종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도매시장법인협회, 김치협회 등 다양한 전문가들과 직접 준고랭지 시험포(여름배추 조기출하 실증 진행)와 안반데기 현장을 둘러보고 “정책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농식품부, 농진청, 지자체의 유기적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