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이래 두 번째로 큰 규모 수주 계약…누적 수주 총액 200억 달러 상회
[미디어펜=박재훈 기자]삼성바이오로직스가 9일 공시를 통해 미국 소재 제약사와 12억9464만 달러(약 1조8001억 원) 규모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 제 4공장 전경./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이번 계약은 창립 이래 두 번째 규모로 지난 1월 유럽 제약사와 맺은 약 2조 원 규모 계약에 이은 초대형 수주 계약이다. 공시로 밝힌 계약 기간은 2029년 12월 31일까지며 고객사 및 제품명은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로써 올해 누적 수주 금액 5조2435억 원을 기록하며 8개월 만에 전년도 수주 금액(5조4035억 원)에 달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또한 이번 수주를 통해 창립 이래 누적 수주 총액이 200억 달러를 상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경기 둔화, 관세 영향 등 바이오 업계 전반의 경영 불확실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도 연이은 대형 계약을 따내며 회사의 경쟁력과 이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최근 미국 행정부의 관세압박이 커지면서 대미 수출 환경은 위축되고 있다. 하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제약사와 이번 수주 계약을 성사시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흔들림 없는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이와함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압도적 생산능력과 품질, 다수의 트랙레코드를 기반으로 핵심 경쟁력을 지속하고 있다. 올해에만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전역에서 다수의 신규 계약을 확보하는 등 고객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생산능력를 확대하고 있다. 5공장은 1~4공장의 최적 사례를 집약한 18만 ℓ 규모 생산공장으로 지난 4월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총 78만4000ℓ의 세계 최대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이같은 생산능력 증가는 수주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계 최대 생산능력과 글로벌 규제기관 승인 트랙레코드에 기반한 안정적인 품질역량은 관세 리스크를 넘어서는 차별적 경쟁력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삼성바이오로지스는 품질 경쟁력 측면에서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2025년 9월 기준 총 382건의 제조 승인을 획득했다. 승인 건수는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지속 증가하는 추세로 규제기관 실사 통과율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 중이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도 높은 글로벌 대외 신임도를 바탕으로 3대축 성장 전략 가속화를 통한 긍정적 수주 성과 도출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