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과학원·기후과학센터 같은 전문기구 만들어야
기후·산업 ‘이분법’ 우려에 “형제처럼 협력·협의할 것”
‘탈원전’은 아냐…“원전 기저전원으로 재생에너지로 전환”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정부조직 개편안대로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출범되면 과학적 분석과 대책 세울 수 있는 일종의 통합지원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9일 저녁 출입기자들을 만나 정부의 조직개편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사진=환경부


김 장관은 9일 저녁 환경부 출입기자단과 만나 “환경부와 산업부 에너지 차관실 소속이 통합되는 일이라 시간은 많지 않지만 체계적으로 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의지를 표하며 “기후를 총괄하고 있는 환경부 기후실과 그 실행수단 갖고 있는 산업부 에너지실이 합한 것이기 때문에 그에 맞게 보조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해 김 장관의 판단은 정책의 체계를 갖추기 위한 과학적 분석과 대책 세울 수 있는 일종의 통합지원기구, 예컨데 기후과학원이나 기후과학센터 같은 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인력 증원하지 않으면서도 (부처에)흩어져 있는 연구 기능 등을 통합하면 세계적인 전문기구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또한 정부조직 개편안이 확정되면서 발전과 자원 분야가 이원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조직개편 이후에라도 산업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거의 형제부서처럼 충분히 사전 협력과  협의를 해야 하는 굉장히 중요한 부처”라면서 “너무 나눠서 볼 이유는 없다고 판단하고 늘 협의·조정해 나갈 예정”이라며 선을 그었다.

부연해 김 장관은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환경부가 하지만 전기차 산업을 활성화해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여전히 산업부가 하고, 풍력에너지원을 확대해야 하지만 관련된 산업 기능도 역시 산업부에 있으며 철강도 마찬가지로 수소환원제철, 전기로 전환 에너지정책과 철강산업 발전은 한 몸처럼 움직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기존의 에너지산업 구조에 대해서는 단계별 구조조정과 에너지 체계개편,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로드맵 구축, 관련 노동자 전환 등을 가급적 조기에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도 내놨다.

김 장관은 “석유·석탄·가스를 자원으로 볼거냐, 에너지로 볼거냐에 대해서 입장 좀 다를 수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석유공사, 가스공사의 경우 에너지파트와 더 잘 결합하는 게 좋겠다는 판단”이라면서 “NDC 계획을 매년 점검하고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수요도 충분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전산업과 관련해서는 “원전을 기저전원으로 하면서 재생에너지를 빨리 늘리고 석탄과 석유 LNG를 동력원에서 빨리 전환하는 게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원전을 바라보는 관점이 조금 바뀌어야 하지만 (원전은)여전히 위험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해야 한다”면서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을 탈원전이다라 보지말아달라”고도 말했다.

아울러 김 장관은 “산업부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로 넘어오는 공기업 가운데 한국전력 산하의 5개 발전 공기업의 경우 2040년까지 석탄발전소를 모두 폐지하는 대선 공약을 현실로 만들려면 구조조정을 가급적 조기에 결정해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