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권 정부 출범 100일 성과… 예산 7조 3287억 원·북극항로 TF 직접 총괄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수산부가 연내 부산 이전에 대한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11일, 국민주권 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성과와 향후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부산 이전을 12월까지 마무리하고 내년을 해양수도권 원년으로 삼겠다”며 북극항로 진출 준비, 해운·수산·항만 정책 전반의 추진 의지를 밝혔다.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민주권 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성과와 향후계획을 발표하는 간담회를 갖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해수부는 먼저 부산 이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예비비 867억 원을 확보했고 직원 정주 여건 지원책을 발굴하며 간담회 20여 회를 열어 소통을 이어왔다. 내년 예산도 올해보다 8% 이상 늘어난 7조 3287억 원을 확보했다.

분야별 성과도 제시됐다. △북극항로 연구를 위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 체결 △경남 통영·경북 포항을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로 선정(투자 규모 약 1조 원) △고수온 피해 대비 긴급방류 절차 간소화와 보상 단가 인상 △해운산업 위기대응펀드 확대(1조 원→2조 원) 및 중소선사 특별지원 확대(2500억 원→5000억 원) △부산항 진해신항 본격 착공 등이 포함됐다.

또한 인사 운영에도 변화를 줬다. 운영지원과장에 비고시 출신을 임명하고, 항만 안전관리 인력과 어선원 안전감독관을 각각 2배 가까이 늘렸다. 전 장관은 “50일간 기자들과 23회 간담회와 인터뷰를 진행했다”며 정책 홍보도 강조했다.

하반기 계획으로는 부산 이전청사 내부 공사(10월 착수)와 12월 이전 완료, 해운선사·공공기관 이전 지원을 추진한다. 아울러 △북극항로 TF를 장관 직속으로 격상 △전문가 자문위원회·범부처 전담조직 설치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1곳 추가 선정 △스마트 수산업 혁신 선도지구 지정 △어선 구명조끼 보급·의무화 △AI 자율운항선박 R&D 예타면제 추진 △광양항 스마트 항만 테스트베드 조성 착공 △진해신항 컨테이너 부두 착공 등을 예고했다.

전 장관은 “내년 해수부가 부산에서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하면 해양수도권 원년이 될 것”이라며 “국민께 실적과 성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