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우성4차 시공사 선정 입찰 공고 '취소'…'단독입찰' 조짐에 일정 미뤄
성수1지구 입찰지침 '손질' 나섰다…지침 유지 결정에 조합 반발 부딪혀
[미디어펜=박소윤 기자]정비사업 조합들이 시공사 선정 전략을 잇달아 수정하고 있다. 단독입찰로 인한 수의계약 수순을 방지하고 경쟁입찰을 성사시켜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다. 이를 위해 입찰지침을 고치거나 일정 자체를 미루는 사례가 늘고 있다. 

   
▲ 개포우성4차 재건축 조감도./사진=개포우성4차 재건축 조합

12일 업계에 따르면 개포우성4차 재건축 조합은 최근 시공사 선정 입찰 공고를 취소했다. 지난 7월 입찰 공고 후 현장설명회까지 마쳤지만, 경쟁 구도가 흔들리면서 전략을 바꾼 것이다. 

개포우성4차 재건축은 서울 강남구 도곡동 일대 노후 아파트를 최고 49층, 1080가구 규모의 아파트로 탈바꿈하는 사업이다. 현장설명회에는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제일건설 등이 참석했으며, 롯데건설과 포스코이앤씨의 맞대결이 예상됐다. 

그러나 포스코이앤씨가 최근 안전사고 여파로 참여 여부가 불투명해지자 롯데건설의 단독입찰 가능성이 커졌고, 경쟁입찰을 성사시키기 위해 일정을 미룬 것이다.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은 시공사가 두 차례 연속 단독 응찰할 경우 수의계약을 허용한다. 통상 정비사업에서 조합은 건설사 간 경쟁을 통해 사업조건을 유리하게 끌고 갈 기회가 생기는데, 단독입찰에 따른 수의계약은 이같은 효과를 얻기 어렵다.

하반기 최대어인 성수1지구 재개발도 상황은 비슷하다. 조합은 경쟁입찰을 유도하기 위해 이달 9일 긴급이사회를 개최하고 입찰지침을 손질했다. 

   
▲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 내 골목길 뒤로 최고 47층 트리마제가 보인다./사진=미디어펜 서동영 기자

총 4개 지구로 나눠 추진되는 성수전략정비구역 사업은 성수동1가 일원에 총 55개 동, 9428가구 아파트 를 짓는 대형 프로젝트로, 이 중 1지구는 최고 69층, 3014가구 규모의 초고층 단지로 재탄생한다. 총 공사비 2조1540억 원 규모다. 

당초 성수1지구는 현대건설, GS건설, HDC현산 간 3파전이 유력했으나, 현대건설과 HDC현산이 '무리한 입찰조건'을 문제 삼으며 현장설명회에 불참했다. 설명회에 불참하면 입찰 참여 자격 자체가 사라지는 만큼 사실상 GS건설의 단독입찰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조합은 이달 초 대의원회에서 입찰지침 완화 여부 논의를 통해 '현행 유지'로 가닥을 잡았지만 이에 반발한 조합원들의 요구로 다시 방향을 선회했다. 

새 지침에서는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삭제를 요구했던 '조합원 로열층 우선 분양 금지' 조항과 '추가 이주비 담보인정비율(LTV) 한도 100% 제한' 조항이 폐지된다. 또 대형 평형을 소유하고 있는 일부 조합원들에게만 해당하는 환급금 우선 상환 대신, 모든 조합원에게 공통 적용되는 사업비 상환을 우선하도록 강제하고 나머지는 시공사의 제안에 맡기기로 했다.

지난 7월에는 경쟁입찰 부재로 시공사 선정 자체가 무산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당시 방배신삼호 재건축에 단독으로 응찰한 HDC현대산업개발은 △평당 공사비 876만 원 △사업비 조달 금리 CD+0.1%(고정) △이주비 LTV 100% △사업촉진비 2000억 원 등 파격 조건을 제시, 경쟁입찰에 준하는 조건을 내놨다. 

정경구 HDC현산 대표까지 직접 설명회에 나서 "인허가부터 시공, 준공 후 사후관리까지 책임지겠다"고 강조했지만, 총회 표결 결과 찬성 177표, 반대 228표로 최종 부결됐다. 경쟁입찰을 요구하는 조합 내 반발 여론을 넘지 못한 것이다. 결국 사업은 원점으로 돌아갔고, 장기간 지연으로 '정비구역 일몰제' 적용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합 입장에서는 단독입찰보다는 경쟁구도를 만들어야 사업 조건 등이 유리해진다"며 "최근 조합들이 입찰지침 수정이나 일정 조정에 나서는 것도 이 같은 맥락"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박소윤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