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P “10월 말~11월 초 ‘관세 휴전’ 종료 전 방중할 듯”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최근 미국과 중국의 국방·외교 장관이 전화통화로 접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을 방문을 위한 준비 작업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9일(현지시간)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 장관과 둥쥔 중국 국방부장이 화상통화를 한 데 이어 10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 통화한 것은 미중 정상회담에 앞선 의제 조율 차원이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SCMP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 시기는 10월 31일에서 11월 1일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후가 될 것이라며 90일간 2차 미중 관세 휴전이 만료되는 11월 10일 이전에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지난달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그다음 날부터 미중 관세·무역전쟁의 ‘90일 휴전’이 재차 이뤄다. 앞서 미국은 지난 5월 12일부터 적용한 24% 포인트 추가 관세 유예기간을 다시 90일간 늘리고 중국 역시 보복을 유예키로 합의한 바 있다.

SCMP는 이번 미중 국방·외교 장관 접촉에서 중국은 남중국해와 대만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고 전했다.

천치 칭화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이번 주 접촉한 관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과 관련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기대감을 관리했을 것”이라며 “두 정상이 만난다면 무역전쟁 격화 가능성이 작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둥쥔 국방부장은 헤그세스 국방장관에게 “특정 국가의 침해와 도발, 그리고 비지역 국가의 고의적인 선동에 확고히 반대한다”며 “군사력을 사용해 (대만) 독립을 지원하고 대만문제를 이용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모든 계획과 간섭은 좌절될 것”이라고 말했다.

왕이 외교부장은 “미국이 언행을 신중히 하고 조심해야 한다”며 “특히 대만과 같은 중국의 핵심 이익과 관련해서는 더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마 보 난징대 교수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남중국해의 해상 안보 문제가 중요한 주제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중국은 미국에 '항행의 자유'와 관련해 양국 간 긴장을 고조시키거나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