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권동현 기자]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13일 당시 희생된 노동자를 추도하는 행사가 열렸다. 하지만 이번에도 일본측의 추도사에 강제성 표현이 빠지면서 한국측 인사는 작년에 이어 또 불참했다.
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이날 오후 1시 30분쯤 사도섬 서쪽에 있는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사도광산 추도식’을 개최했다.
일본 정부는 추도사에서 사도광산에서 일한 모든 노동자를 기리며 조선인 노동자에 대한 언급은 가혹한 환경, 힘든 노동에 그치고 ‘강제동원’이라는 직접적인 표현은 회피했다.
|
 |
|
▲ 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노역했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24일 한국과 일본의 불협화음 속에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주최로 사실상 '반쪽짜리' 추도식이 열렸다. 추도식에는 약 100명이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한국 측 불참으로 약 30개 좌석이 비어 '반쪽 행사'임을 여실히 보여줬다. 2024.11.24./사진=연합뉴스
|
한국정부는 지난해 11월 추도사 내용과 행사 명칭 등이 미흡하다고 판단해 행사 직전 불참을 결정했고, 올해 추도사에도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이 충분히 담기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이달 초 불참을 통보했다.
우리정부는 일본측의 이러한 태도를 ‘진정한 반성’의 부족으로 평가했으며, 올 가을 즈음 유가족 중심 별도 추도식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강제로 노역했다는 것이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한국인 피해자 본질이 축소되는 행사에는 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사도광산은 에도시대(1603∼1867) 금광으로 유명했던 곳이다.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이후엔 전쟁 물자를 확보하가 위해 개발된 광산으로, 이때 식민지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됐다.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