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 과열이 다소 진정되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다. 하지만 리스크 요인이 잠재해 있는 만큼, 주택시장 과열과 가계대출 증가세도 다시 확대될 수 있어 추세적 안정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
 |
|
▲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 과열이 다소 진정되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다. 하지만 리스크 요인이 잠재해 있는 만큼, 주택시장 과열과 가계대출 증가세도 다시 확대될 수 있어 추세적 안정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사진=김상문 기자
|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세가 여전히 높고, 15억 초과 아파트에서는 7월 이후에도 상승 거래 및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는 등 추가 가격상승 기대와 잠재 구입수요가 여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가격 상승폭이 축소되고, 거래도 둔화되는 등 과열 양상이 어느 정도 진정되는 모습이다.
6억원 초과 주담대 제한의 영향을 받는 고가주택을 중심으로 거래가 감소했다. 7월 서울지역에서 8억6000만원을 초과하는 주택거래 비중(6월 51.3%→7월 36.8%)은 전월 대비 14.5%포인트(p) 줄었다. 12억원 초과 주택(6월 33.9%→7월 23.2%)의 경우 10.7%p 축소됐다. 또한 수도권 내 주택 구입 시 전입신고 의무 강화로 갭투자 등 투기적 거래도 상당 폭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7월중 전월의 3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다. 8월에는 5~6월중 늘어난 주택거래의 영향으로 다시 확대됐으나 그 폭은 제한적이라고 한은은 진단했다.
6.27 대책에 따른 한도 감소 등 직접적 효과뿐 아니라 금융기관들이 자율적으로 대면·비대면 창구의 대출심사 강화와 모집인 대출 취급 중단 및 월별 신청한도 제한 등의 가계대출 관리조치를 강화함에 따라 생활자금용 주담대 및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다.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가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으나, 금융기관들이 7~8월중 이미 승인된 주담대 취급물량 집중에 대비해 생활자금용 주담대와 신용대출에 대한 취급을 우선적으로 축소했다.
한은은 "6.27 대책으로 수도권 주택시장의 과열이 다소 진정되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된 모습"이라면서도 "관련 리스크 요인이 잠재해 있는 만큼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상황의 추세적 안정 여부는 좀 더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충분히 가라앉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 간 전이효과와 공급 부족 우려, 금융여건 완화 등이 맞물릴 경우, 수도권 주택시장이 재차 과열되고 가계부채 증가세도 다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