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대책 추가설명…'LH 직접시행' 주택 품질 우려에 "민간이 브랜드 걸고 품질 관리"
[미디어펜=서동영 기자]정부가 9·7 주택공급대책에서 나온 도심 내 유휴부지를 활용의 구체적 방안을 내놨다. 성균관대 야구장과 위례업무용지에서 4000가구 규모 주택 공급을 위해 오는 2027년 착공하기로 했다.  

   
▲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6일 국토교통부는 16일 유휴부지를 활용한 주택 공급 추진 현황과 일정을 내놨다. 국토부는 지난 7일 △성대 야구장 부지(1800가구) △송파구 위례업무용지(1000가구) △서초구 한국교육개발원(700가구) △강서구청 가양동 별관·강서구의회·강서구보건소 이전 부지(558가구)에 생활 사회기반시설(SOC)과 주택을 복합 개발해 2030년까지 4000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성대 운동장과 위례업무용지는 2027년 착공, 한국교육개발원과 강서구 공공청사 부지는 2028년 착공을 목표로 토지 매입 등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지자체·주민 의견을 수렴·반영해 이견을 적극 해소하는 등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부지별 특성·위치 등을 고려해 임대주택뿐 아니라 분양주택도 포함해 공급 예정이며, 분양·임대주택 규모는 지자체 등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하기로 했다. 

LH가 도급형 민간참여사업으로 진행하면서 공사비를 낮게 해 주택 품질이 낮아질 것이란 우려에 대해선 "민간이 자사 브랜드를 걸고 품질관리를 하므로 민간 분양주택 못지않은 품질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봤다. 대형 건설사 참여가 낮을 것이란 우려에 대해서도 최근 2년간 선정된 건설사 17곳 가운데 11곳이 시공능력평가 30위권 대형 업체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도심 복합사업으로 2030년까지 5만가구를 착공한다는 목표에 대해서는 "선도지구 8곳은 지구 지정 이후 사업계획 승인까지 2∼3년 걸려 민간 정비사업 대비 3∼4년 빠르게 진행 중"이라며 "사업성 개선을 위해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현물보상 확대 등으로 불합리한 규제 해소를 위해 노력해 왔다"고 밝혔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