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여전업계 최고경영자(CEO)들과의 만남에서 최근의 금융권 사이버 침해사고를 뼈아픈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금감원은 16일 오후 여신금융협회에서 여전사 CEO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
|
▲ (앞줄 왼쪽부터) 김용석 하나캐피탈 대표, 문창환 IBK캐피탈 대표, 김재관 KB국민카드 대표, 기동호 우리금융캐피탈 대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 정태영 현대카드 대표, 성영수 하나카드 대표 (뒷줄 왼쪽부터) 김이태 삼성카드 대표, 한구 금융감독원 중소금융 부원장보, 진성원 우리카드 대표, 빈중일 KB캐피탈 대표, 추광식 롯데캐피탈 대표, 최원석 비씨카드 대표, 박창훈 신한카드 대표, 정형진 현대캐피탈 대표./사진=금융감독원 제공 |
이 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최고경영자들이 장기적 시각에서 금융소비자 정보보호를 직접 챙겨달라고 당부하고 나섰다. 이 원장은 "최근 금융권의 사이버 침해사고를 뼈아픈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며 "비용절감을 통한 단기 실적에만 치중한 반면, 정보보안을 위한 장기 투자에는 소홀한 결과는 아닌지 뒤돌아 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금융소비자 정보보호를 위한 지출은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금융업체로서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지출이자 핵심 투자"라며 "카드업권의 경우 전국민의 정보를 다루는 점에서 정보보호에 깊은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표님들께서 한 번의 사고도 용납하지 않는다는 제로톨러런스(Zero-Tolerance) 원칙을 가지고, 직접 사이버 보안 인프라를 근본적으로 재점검하는 등 정보보호의무를 철저히 준수해달라"며 "신용정보법 등 관련 법령에서 요구하는 보안대책의 수립 및 시행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소비자 친화적 업무패러다임으로의 전환도 요청했다. 이 원장은 해킹침해사고 직후 발생한 다수의 금융민원을 예로 들어 "소비자가 자기보호를 위한 방어권을 적시에 행사할 수 있도록 앱·홈페이지 개편, 야간·주말 통합 콜센터 확대 운영 등 소비자 접근 채널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취약계층 지원도 언급했다. 그는 "장기 연체 차주의 소액채권 등에 대해서는 소멸시효 연장을 자제하고, 고령층의 카드포인트 사용을 활성화하는 등 소비자를 배려하는 업무방식을 고민해달라"며 "개인채무자보호법에 따른 자체 채무조정 및 근로자 대상 햇살론을 확대하는 등 연체 차주의 재기 지원, 취약계층에 대한 자금 공급에도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도 이 원장은 건전성 관리를 당부했다. 이 원장은 "경기변동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관리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부실이 우려되는 자산에 대해서는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해달라"면서 "리스크 관리 과정에서 중·저신용자의 자금조달이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살펴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 확대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 경제가 처한 성장둔화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기술력 있는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양질의 자본 공급이 필요하다"며 "기술 기반 성장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여전사에서도 모험자본 공급의 한 축을 담당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의 이 같은 발언에 여전사 CEO들은 "취약차주 등 금융소비자 보호 및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 제고 필요성에 공감한다"면서 "부동산 PF 정상화, 가계부채 관리 및 지급결제업무 혁신 등을 위해 더욱 노력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결제시장 경쟁 심화, 경기 둔화 등에 따른 수익성 저하 등 경영상 어려움이 있다"며 "취약차주에 대한 지원 확대와 여전사의 사업영역 확장을 위해 금융당국의 정책적·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 원장은 "여전사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는 업권의 존립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며 "향후 감독·검사업무에 업권의 건의사항을 적극 반영하고, 불필요한 규제 개선 등 제도적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