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다수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연 2.50% 동결 결정에 가계대출·집값·환율 불안을 근거로 들었다.
|
 |
|
▲ 한국은행 전경./사진=한국은행 제공. |
한은이 16일 공개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8월 28일 개최) 의사록에 따르면, 이창용 총재를 제외한 6명 위원 가운데 5명은 기준금리 동결을 지지했다.
한 금통위원은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이후 주택시장 과열이 진정되고 가계부채 증가 규모가 크게 축소됐다"면서도 "서울 선호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높은 수준이고 주택 가격 상승 기대도 남아 있어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여전히 크고 가계부채 추이도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위원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목표 수준(2%)에서 안정된 가운데 성장률은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최근 다소 개선되는 흐름을 보인다"며 "주택시장 수급 우려, 금융 여건 완화 기대 등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가 잠재해 금융 불균형 위험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리를 인하하면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를 부추길 우려가 크고, 외환시장의 높은 변동성도 감안할 때 (미국과) 내외 금리차 확대가 자본 유출을 통해 외환 수급에 미칠 부정적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신 위원의 경우 "주택가격 상승세가 완전히 진정된 상태는 아니라도 상승 모멘텀(동력·동인)이 상당히 약해진 현시점에서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올해 중 예고된 일부 산업 구조조정, 지속되는 부동산 PF 등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과 경제의 하방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도 금융 여건을 조금 더 완화적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