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멸종위기종 야생생물 Ⅰ급이자 국가유산청 천연기념물 및 IUCN 적색목록 관심대상(LC)인 대형 맹금류에 속하는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가 국내 제주에서 확인됐다.
이는 1948년 우리나라에서 복무한 미국 육군 장교가 발견한 이후 77년 만의 일로, 그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검독수리 서식지 보전과 중장기적인 보호 대책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립생태원은 최근 제주도 한라산 북쪽 방향의 한 절벽에서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를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
 |
|
▲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검독수리(수컷 성조)./사진=국립생태원 |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작년 7월 제주대학교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 직원이 한라산 북쪽 인근에서 어린 검독수리 1마리를 구조했던 사건과 지역 주민의 목격담을 토대로 검독수리 조사를 준비해왔다.
당시 구조됐던 검독수리는 1살 미만으로 추정되는 어린 독수리로 구조됐으나 구조 3일 만에 폐사해, 제주대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가 국립생태원에 사체 샘플 등의 자료로 제공했다.
이후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한라산을 관리하는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로부터 조사 허가를 받고 올해 4월부터 최근까지 한국조류보호협회 제주지회 회원과 검독수리 서식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한라산 북쪽 지대 약 90m 절벽의 3분의 1지점에서 지름 약 2m, 높이 약 1.5m 추정되는 검독수리의 둥지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올해 5월 제주 둥지에 검독수리 암수 한 쌍과, 새끼 한 마리가 서식하는 모습을 약 200m 떨어진 장소에서 망원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둥지는 마른 나뭇가지를 쌓아 올려 만들어졌으며 안쪽에 마른 풀잎과 푸른 솔가지가 깔린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들 암수 개체가 모두 최소 6년생 이상의 어른새(성조)로 추정했으며, 새끼의 성별은 외형만으로 구분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어 7월 조사에서는 이들 검독수리 가족이 둥지를 떠난 것(이소)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진은 검독수리가 번식지를 쉽게 옮기지 않는 특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같은 장소에서 번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번식 둥지를 비롯해 번식 쌍과 새끼가 함께 발견된 것은 미군 장교의 논문 기록 이후 77년 만에 처음이다.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우리나라에서 복무한 미국 육군 장교 로이드 레이몬드 울프(Lloyd Raymond Wolfe)는 1948년 4월 한국인 가이드인 김훈석(검독수리 번식 둥지 제보자) 씨와 함께 경기도 예봉산 정상 인근의 절벽에서 검독수리 어른 새와 함께 번식 둥지를 발견했으며, 이 무렵에 경기도 천마산에서도 새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둥지를 발견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검독수리 둥지 관찰 기록 논문을 1950년 10월 미국의 저명한 조류 학술지인 ‘디 오크(The Auk)’에 게재했다.
수리목 수리과에 속하는 검독수리는 날개 편 길이가 2m가 넘는 대형 맹금류로 국내에서는 전국의 산야와 습지 주변에서 겨울철에 소수의 개체가 주로 관찰됐다. 세계의 분포 지역은 유럽,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다.
검독수리는 포유류(사슴·토끼·고라니) 등과 조류(오리류·꿩 등)를 사냥하며, 동물사체도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1~2월에 1~4개를 알을 낳고 포란 기간은 44~45일이며, 부화한 새끼를 키우는 육추 기간은 70~102일이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검독수리 번식 둥지의 발견을 계기로 제주도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해 서식지 보전을 강화하는 한편 번식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번식한 개체의 기원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 발견은 역사적,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다”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보전과 중장기적인 보호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