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환경부는 한강권역에 위치한 강원 삼척시 소재 광동댐이 9월 16일을 기준으로 가뭄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광동댐은 삼척시, 태백시, 정선군에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
 |
|
▲ 광동댐 시설./자료사진=환경부 |
17일 현재 기준 광동댐 저수량은 480만 톤(저수율 36%)으로 예년 대비 55% 수준이다.
광동댐은 한강권역의 골지천에 위치한 용수전용댐으로 지난 8일 가뭄 ‘관심’ 단계에 진입한 바 있다.
올해 홍수기가 시작된 6월 21일 이후 9월 16일까지 광동댐 유역에 내린 비의 양은 224mm로 예년(731mm)의 31% 수준에 그쳤다.
특히 8월 한 달간의 강우량은 27mm로 예년(261mm)의 10% 수준이다. 댐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적은 상황에서 여름철 용수 공급이 이뤄지면서 지난 6월부터 저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환경부는 한국수자원공사, 지자체(삼척시·태백시·정선군) 등 관계기관 회의를 통해 광동댐 가뭄 상황을 공유하고, 장기화 될 수 있는 가뭄상황에 적기 대응하기 위한 대책들을 점검했다.
환경부는 광동댐 계통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 공급체계를 분석, 댐 용수를 비축하기 위해 9월 11일부터 사미가압장(광역가압장) 내 취수시설을 활용해 하천수로 하루에 4400톤을 대체 공급 중이다.
또한 이번 가뭄단계 격상에 따라, 지자체 정수장과의 연계를 통해 최대 하루 3100톤을 추가로 대체 공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자원공사는 광동댐 수위 저하 시 비상용수 취수를 위한 수중펌프 등 취수설비를 사전 점검하고, 각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인 물 수요 조절을 위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물절약 홍보 및 실천운동을 실시해 가뭄 장기화에 대비하기로 했다.
손옥주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은 “지난 주말 광동댐 유역에 비가 내렸지만, 가뭄을 해소시키기에 강우량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철저한 선제적 공급 관리를 통해 국민의 생활과 공업용수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