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성준 기자] 검찰이 ‘설탕 가격 담합’ 의혹과 관련해 국내 제당업체 3곳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해당 기업들이 말을 아끼고 있는 가운데, 식품업계에서는 수사 여파가 정부의 ‘먹거리 가격’ 압박으로 이어질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
|
▲ 지난 9월17일 검찰이 ‘설탕 가격 담합’ 의혹과 관련해 국내 제당업체 3곳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사진=미디어펜DB |
18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나희석 부장검사)는 전날 CJ제일제당, 삼양사, 대한제당 등 국내 최대 제당업체 3곳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이들 업체는 최근 수년간 설탕 가격을 담합했다는 혐의(공정거래법 위반)를 받고 있다.
수사 대상이 된 기업들은 현재 상황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압수수색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삼양사도 “조사 중인 단계로 현재 밝힐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전했다. 대한제당은 “검찰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을 줄였다.
검찰은 설탕 가격 상승이 전체 음식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서민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민생 범죄 대응 차원에서 이들 업체의 담합 행위를 엄정히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도 지난해 3월 제당업체 3곳이 담합을 통해 설탕 가격을 과도하게 올린 것으로 의심하고 현장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실제로 이들 업체는 지난 2007년 설탕 가격과 출고 물량을 담합한 혐의로 공정위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1991년부터 2005년까지 약 15년간 담합을 통해 부당이익을 챙긴 혐의로 CJ제일제당은 227억 원, 삼양사는 180억 원, 대한제당은 103억 원의 과징금을 각각 부과받았다.
식품업계에서는 이번 수사로 정부의 ‘가격 옥죄기’ 기조가 강화될 것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 이후 유통구조 개혁과 물가 안정 의지를 꾸준히 강조했던 만큼, 담합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업계 전반으로도 ‘불똥’이 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번에 수사 대상이 된 제당업체 3사는 지난 7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 태스크포스(TF)와 논의를 거쳐 기업간거래(B2B) 설탕 가격을 평균 4% 낮춘 바 있다.
[미디어펜=김성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