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 관련 “미국 측에 합리적 대안 제시해달라 요청” 밝혀
“북한 비핵화 구체적 진전 시 노벨평화상 받을 후보는 트럼프뿐”
트럼프의 미군기지 소유권 주장에 “농담이었을 것…세금 내면 돼”
“한미동맹 기반, 중국과 불가분의 관계…강대국 경쟁서 다리 역할”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18일 공개된 미국 타임(Time)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해 “(미국이 제시한) 그 조건에 제가 동의했다면, 내가 탄핵당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현재 장기간 교착 상태에 빠진 관세 협상과 관련해 미국 측에 "합리적 대안을 제시해달라"고 요청한 사실도 공개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인터뷰는 취임 100일 및 유엔총회 참석을 앞두고 타임지 아시아판 커버스토리로 다뤄졌다. 인터뷰에는 ‘가교-이재명 대통령은 한국을 재부팅하고 도널드 트럼프의 환심을 사려 한다(The Bridge- Lee Jae-Myung is rebooting South Korea and courting Donald Trump)’란 제목이 달렸다.

   
▲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당시 사진을 백악관이 최근 사진공유사이트를 통해 공개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강훈식 비서실장이 책상에 손을 올린 채 트럼프 대통령과 논의하고 있다. 2025.9.1./사진=연합뉴스 [백악관 플리커 캡처]

이 대통령은 관세협상과 관련해 “미국 측의 요구 사항이 ‘매우 엄격했다’(so strict)고 평가하며, 그 요구들에 동의했다면 나는 탄핵됐을 것(I would be impeached)”이라면서도 “우리는 새로운 세계질서와 미국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에서 미국과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타임지는 지난 한미 정상회담에서 상당한 시간을 북미 대화 재개 촉구에 할애했다고 분석하면서 “이 대통령이 아마 무역과 투자 문제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북한 문제를 꺼냈을 것”이란 일본 홋카이도 대학 나오미 치 교수의 분석을 빌려 보도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북측과의 화해를 위한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만약 이 문제가 구체적인 진전을 이룬다면, 그 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은 따로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구체적 진전’이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대북제재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제하는 협상을 통해 단계적 프로세스(핵활동 중단→축소→비핵화)를 추진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도 같은 생각일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지난 한미 정상회담 때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기지의 부지 소유권을 넘겨받고 싶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한 것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농담이었을 거라고 생각한다”며 “왜냐하면 미국은 이미 그 기지들과 토지를 아무런 비용없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만약 미국이 그 토지를 실제로 소유하게 된다면, 종합부동산세 및 재산세를 내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거기에 대해 면세 혜택을 줄 수 없다”고 농담 섞은 말을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공식이 끝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정학적 환경이 극적으로 변한 상황에서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며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하되, 중국과는 불가분의 관계로 간다. 강대국 경쟁의 시대에 한국이 ‘다리’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 대통령은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한중 관계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그렇지 않으면 한국이 두 진영간 대립의 최전선에 서게 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인터뷰 당일인 지난 3일 중국에서 전승절 기념식이 열렸던 것과 관련해 “중국측이 내가 참석하기를 원했던 것 같지만 더 이상 묻지는 않았다”고 답하기도 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취임 후 가장 큰 성과로 “국내 정치 상황이 안정됐다는 점”을 들었다. 타임은 이번 인터뷰 기사를 전하면서 이 대통령이 한국이 처한 위기 상황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으며, 경제와 성장 등 한국을 '재부팅'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