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태양광 R&D 기획단'을 출범하고, 초고효율 탠덤셀 조기 상용화와 연계한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기획단은 한화큐셀, HD에너지솔루션 등 산업계와 고려대, 광주과학기술원, 항공대 등 학계, 그리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산·학·연 협력 체계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차세대 태양광 기술 개발과 대면적 상용화, 신기술 발굴에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구상이다.
태양광 산업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전환의 핵심 축으로 떠오르면서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탠덤셀 기술은 기존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의 효율 한계를 극복할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탠덤셀은 두 개 이상의 태양전지를 겹쳐 빛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해 발전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평가받는다.
기획단은 2~3년 내에 탠덤셀 상용화를 조기 추진하고, 탠덤 소재 후보군인 페로브스카이트, 무기 및 유기 태양광 소재 등 관련 기술계통을 완성하기 위한 대형 실증 과제 기획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심진수 재생에너지정책관은 "차세대 태양광은 탄소중립 실현과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 분야"라며 "기획단을 중심으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조기 상용화를 통해 한국 태양광 산업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내년도 태양광 분야 연구개발(R&D) 예산을 전년 대비 47% 증가한 693억 원으로 책정했다. 이 예산은 태양광 기술 혁신과 신시장 개척, RE100(기업의 100% 재생에너지 사용) 이행 지원, 순환경제 구축 등 다방면에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탠덤셀 효율을 전지 30%, 모듈 28% 수준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양면형 탠덤셀 개발과 AI 자율실험실, 대면적 탠덤모듈 개발 등 핵심기술 개발 및 조기 상용화에 지원될 방침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