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지속됨에 따라 정부는 2030년까지 확산 차단 방제벨트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다각적인 현장 방제 대책을 세우고 추진키로 했다.
산림청은 가을철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기간이 도래함에 따라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차단을 본격화한다.
|
 |
|
▲ 소나무재선충병 예찰 과정./자료=산림청 |
우선 금강소나무림, 백두대간 등 보존 가치가 큰 소나무림을 최우선으로 지켜내고 국민의 안전과 산림의 건강성 유지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된 외래 침입종으로 소나무류를 급격히 고사시켜 산림생태계를 급속히 파괴함은 물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감염병이다.
2014년 218만 그루의 감염목 발생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오다 2023년부터 다시 확산되는 추세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5월까지 총 149만 그루의 감염목이 발생하면서 적신호가 켜졌다.
이번 방제 실행계획은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추세에 따라 청정지역 등으로의 확산을 차단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이를 위해 첨단기술 활용 확대, 중요 방어선인 국가선단지 예찰·방제 집중, 산림생태계와 국민 안전을 고려한 현장 맞춤형 방제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 확산 차단을 위해 선제적인 감염목 예찰·진단에 첨단기술을 적극 활용키로 했다.
기존의 헬기·드론 조사에 이어 AI·라이다(LiDAR)를 추가 도입해 감염 의심목 선별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시범으로 추진한다. 발견된 감염 의심목은 유전자진단키트를 사용해 현장에서 바로 감염 여부를 진단해 신속한 차단을 진행한다.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은 다중 방어체계를 구축한다. 국가선단지와 백두대간, 금강소나무림 등 보존 가치가 큰 산림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이들 지역을 중점 관리구역으로 정하고 전문 인력과 첨단 장비를 우선해 투입토록 했다.
특히 미발생지인 73개 시·군·구는 예찰 강화로 예방하고 국가선단지는 도시, 강, 활엽수림 등 완충구역을 활용해 다중 방어체계를 구축, 피해가 시작·확산되는 선단 지역부터 우선 방제하는 압축 방제를 통해 효과적으로 확산을 차단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별 피해 정도와 규모, 집단발생 여부에 따라 단목방제(파쇄·훈증), 소구역 모두베기, 강도간벌, 수종전환 방제 등을 적절히 적용하고, 예방나무주사와 드론방제 등 다양한 방제조치를 실시해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대응에 실효성을 높일 예정이다.
수종전환 방제의 경우는 특별방제구역 등 집단발생지에 대한 재선충병 원천 봉쇄를 위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이다.
아울러 소나무 불법 이동 등 소나무재선충병의 인위적 확산을 차단하는데 필요한 사항도 계획에 반영됐다. 지난 방제 기간 기준 총 12건의 신규·재발생이 있었고 이 중 9건인 75%가 인위적 확산으로 추정됐다.
이에 산림청에서는 화목 농가와 소나무류 취급 업체를 선제적으로 계도, 단속하고 소나무류 무단 이동이 적발될 때는 사법처리를 통해 경각심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이용권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소나무재선충병은 적기에 방제하지 못하면 피해가 급격히 확산돼 국민의 생명과 재산까지 위협한다”라며, “AI 기반 예찰, 국가선단지 중심 방제, 숲의 건강한 전환을 통해 소나무 숲과 산림생태계를 지켜내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