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전원 연결이 차단된 상황…백업 데이터 활용 복구 작업에도 차질
[미디어펜=홍샛별 기자]전날인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을 멈춘 가운데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오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7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20분께 알 수 없는 이유로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내에 있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꽃이 튀며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열기로 전산실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장치가 작동을 멈추자, 서버 등 장비 손상을 우려한 국정자원 측은 대전 본원 내 647개 시스템 전원을 모두 차단했다.

문제는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화재 진압에 시간이 오래 걸려 정확한 피해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한번 불이 나면 꺼지기 어렵고, 불이 꺼진 것처럼 보이더라도 다시 살아날 수 있다.

또 배터리 내부 단락으로 온도가 급상승하는 '열폭주' 현상이 이어지면 온도가 순간적으로 섭씨 1000℃까지 치솟을 수 있다.

서버 전원 연결이 차단된 상황이어서 백업 데이터를 활용하는 복구 작업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클라우드 업계 등에 따르면 국정자원의 G-클라우드 존 데이터는 최대 4중화까지 백업돼 있어, 서버가 소실되더라도 외부 저장 데이터를 통한 복구가 가능하기는 하다.

다만 많은 시스템이 몰려있는 만큼 일부 시스템은 조기 복구되더라도 전체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여겨진다. 

정부는 일단 복구 작업에 착수하는 대로 국민 파급효과가 큰 1∼2등급 정보시스템부터 우선 복구를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국가 정보시스템은 이용자 수나 파급 효과 등을 따라 1∼4등급으로 분류된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