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산업통상자원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촉발된 전산 장애 사태와 관련, 부처 업무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
 |
|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사진=연합뉴스 |
산업부는 28일 김정관 장관 주재로 긴급 점검 회의를 열고 화재 피해로 중단된 주요 정보시스템 현황과 복구 상황을 공유한 뒤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화재로 정부 대외 서비스와 내부 전산망이 동시 마비되면서 산업부 업무도 곳곳에서 차질을 빚고 있다. 특히 △전략물자 심사 △불공정 무역 행위 조사 △전기사업 인허가 신청 등 핵심 행정 절차의 온라인 처리가 중단된 상태다.
현재 산업부 및 산하기관의 대표 홈페이지를 포함해 대국민 서비스 11개, 내부 행정업무 10개 등 총 21개 시스템이 접속 불가 또는 작동 불능 상태에 놓여 있다.
산업부는 긴급 대책으로 수기·대면 방식의 임시 접수를 시행하기로 했다. 전기사업 인허가는 대면 접수를 원칙으로 하고, 인허가 결과는 한국전력과 전력거래소 홈페이지에 공고하는 방식으로 대체한다. 전략물자 수출 심사는 전용 플랫폼 대신 이메일 접수를 허용하며, 불공정 무역행위 사건은 서면 접수와 팩스·우편 통보로 진행한다.
김정관 장관은 회의에 앞서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전자무역 통합관제센터를 직접 찾아 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김 장관은 “추가적인 사이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보안 관리가 필요하다”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복구하고, 동시에 제도적 보완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현재 기획조정실장을 팀장으로 한 비상 대응팀을 운영 중이며, 복구 작업과 함께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