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 올해 상반기는 물론 하반기도 대규모 투자 계획
LNG선박·친환경 선박 등 신규 수주 늘리려면 생산능력 확대 필요
베트남·필리핀·미국 등 해외서도 투자해 건조능력 ↑
[미디어펜=박준모 기자]조선업계가 생산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고 있다. 올해 상반기는 물론 하반기에도 투자는 이어질 예정이며, 중장기적으로도 설비 확충 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다. 조선업계는 투자를 확대해 수주 물량을 안정적으로 소화하고, 향후 늘어날 친환경 선박 발주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 HD현대 조선소 전경./사진=HD현대 제공


29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는 조선 부문에서 올해 상반기 3078억 원의 설비 투자를 집행했다. HD현대삼호는 1580억 원, HD현대중공업은 1026억 원, HD현대미포는 472억 원을 각각 투자했다. 

한화오션도 같은 기간 1858억 원, 삼성중공업은 1158억 원을 각각 설비 투자에 집행했다. 주요 조선사들이 모두 생산능력 확충과 공정 효율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조선업체들은 향후에도 투자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HD현대 조선 부문에서 계획된 설비 투자는 9879억 원으로 순차적으로 투자가 이어질 예정이다. HD현대중공업은 올해 하반기에 1811억 원을 투자하며, HD현대미포는 내년 말까지 4332억 원, HD현대삼호는 2030년까지 총 3736억 원을 설비 투자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오션은 올해 하반기에 8424억 원을 설비 투자에 집행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도 하반기에는 1842억 원, 내년에는 3500억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늘어난 일감 소화·신규 선박 수요에도 대응

이처럼 조선업체들이 설비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이유는 생산능력을 확대해 누적된 수주 물량을 원활히 소화하고, 향후 본격화될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현재 조선사들은 3년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한 상태이며, 선박 납기 준수를 위한 생산 효율성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게다가 향후 늘어날 선박 발주를 위해서도 생산능력 확충이 요구되고 있다. 

LNG 운반선의 대규모 발주가 예상된다. 미국의 LNG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LNG 운반선이 추가 발주가 기대되며, 카타르도 LNG 생산량을 더 확대하기로 하면서 추가로 선박 발주가 나올 전망이다. 

또 친환경 선박 역시 발주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탄소배출 규제가 본격화됨에 따라 노후화된 선박 교체 수요는 물론 신규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신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생산능력 확충은 필수다. 국내 조선사들의 설비 투자는 생산능력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한화오션은 부유식 도크 1기를 새롭게 도입해 연간 4척 이상 생산량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생산설비의 효율을 높이고, 자동화 설비 도입을 확대해 건조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선박 건조 물량을 늘리는 방법 중 하나”라며 “중장기적으로 생산능력 확대는 국내 조선사들의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한화오션 필리조선소 전경./사진=한화오션 제공


◆HD현대·한화, 해외서도 생산능력 늘린다

국내 조선사들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생산능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HD현대의 경우 베트남과 필리핀에서 생산능력 확충을 추진할 계획이다. HD현대베트남조선은 현재 연간 15척을 건조할 수 있는데 2030년까지 연간 20척까지 건조할 수 있는 설비 투자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또 필리핀에서도 건조 능력을 현재 연간 4척 향후 10척 수준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구상하면서 중국과의 경쟁에 대응할 수 있는 글로벌 생산 거점으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한화오션도 미국 필리조선소의 생산능력을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 현재 필리조선소는 연간 1~1.5척의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데 이를 20척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도크 2개, 안벽 3개 추가 확보 등에 7조 원을 투자해 생산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또 다른 조선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도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으나 부지 등 물리적 한계가 있다”며 “해외에서도 생산 거점을 적극 활용한다면 늘어나는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