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10월 1일 자로 환경부가 기후에너지환경부로 공식 출범했다.
|
 |
|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식에서 출범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출범식을 갖고 “그동안 기후정책 총괄 기능은 환경부에 있었고 감축수단은 산업부에 있다 보니, 실질적인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며 “이제는 기획과 실행을 하나의 부처에서 하게 된 만큼 전력, 산업, 수송, 건물, 생활 전 분야에서 탈탄소 녹색 대전환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진정한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탈탄소 전환을 향한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겠다”면서 책임있는 목표 설정, 실효적인 탈탄소 전략,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체계 대전환, 탄소중립산업 국가 신성장동력 육성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또한 김 장관은 “극단화되는 이상기후에 대비해 촘촘한 기후 안전망을 구축하고 국민 안전과 기본 환경권을 보장하기 위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고품질 환경 서비스 제공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출범식에서는 ‘국민과 함께 만드는 기후·에너지·환경의 새로운 길’을 다짐하는 공동 퍼포먼스도 진행됐다. 앞으로의 5년이 인류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최적의 골든타임’임을 강조하면서, 앞으로 기후부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공식 개편에 따라 기후부는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이라는 비전을 책임 있게 이행하기 위한 기후정책 총괄 기능과 탄소중립의 핵심 이행 수단인 에너지 기능을 통합해 확대 개편된다.
새 출범을 알린 기후부는 조직을 2차관, 4실, 4국·14관, 63과로 편제하고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환경질 개선, 기후재난 대응 등 기후·에너지·환경정책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체계로 구성했다.
1차관 소속으로는 기획조정실, 물관리정책실과 자연보전국, 대기환경국, 자원순환국, 환경보건국을 편제해 △하천 자연성 및 생태계의 회복 △미세먼지 저감 △순환경제 구축 △화학물질 안전 등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핵심 환경정책의 차질 없는 추진과 국민 체감형 환경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기획조정실에 정책기획관, 물관리정책실에 수자원정책관, 물환경정책관, 물이용정책관을 두는 체제다.
2차관 소속은 기후에너지정책실과 에너지전환정책실을 재편해 기후정책과 에너지정책의 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에너지 전환을 위한 재생에너지의 획기적 확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탄소중립 산업 육성 등의 이행을 가속화하게 된다.
김 장관은 기후부 장관으로서의 첫 행보로 전력거래소를 찾을 예정이다.
경기 의왕 전력거래소 경인지사를 방문해 '추석 연휴 대비 전력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전력망 관리 현장을 챙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국가 전산망이 문제가 된 상황에서 전력거래소 본부가 재난이나 사고 등으로 마비될 경우 본부의 전력계통 운영을 대신하는 관제 기능을 맡고 있는 현장을 찾아 직접 점검하는 등 당분간 현장 행보를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기후부 새 출범에 따라 국회 상임위원회 명칭과 소관 사항도 조정된다. 기존 소관 상임위는 국회법 개정에 따라 환경노동위원회에서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로 명칭이 바뀌게 된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