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동부 산둥성 칭다오의 컨테이너 항만 모습 (자료사진, AP=연합뉴스)

[미디어펜=김종현 기자] 중국이 자국 항구에 정박하는 모든 미국 선박에 대해 톤당 50 달러의 접안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CNBC와 중국 현지언론에 따르면 중국 교통부는 10일(현지시간) 오는 14일부터 미국 선박이 중국 항구에 정박할 경우 접안료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같은 날부터 시행될 예정인 미국의 중국 선박 대상 항만 요금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 조치이다.

중국 교통부는 이번 미국의 조치가 "국제 무역 원칙을 심각하게 위반하며" 미중 해상 무역을 "심각하게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중국은 미국 선박에 대해 순톤당 400위안(약 56달러)의 요금을 부과할 예정이며, 이는 미국이 중국 선박에 부과하는 순톤당 50달러의 항만 요금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중국 교통부는 이번 요금이 미국 기업, 단체, 개인 및 지분 25% 이상을 보유한 법인이 소유한 선박에 적용된다고 했다. 또한 미국 국기를 단 선박이나 미국에서 제작된 선박도 요금 부과 대상이다.

중국은 또 미국과 마찬가지로 오는 2028년 4월 17일까지 요금을 점진적으로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상공회의소 중국 지부 회장인 마이클 하트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소비자들의 비용 증가, 선사들의 수익 감소, 특정 품목의 미국 수출 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미국은 전 세계 조선업의 0.1%만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은 53.3%를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은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부터 중국산 선박에 항만 요금을 부과하는 정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상하이에 있는 Z-Ben어드바이저스의 피터 알렉산더 대표는 CNBC에 "이번 조치는 단순한 보복성 협상 전술일 뿐"이라며 "미국이 중국 선박에 요금을 부과하자 중국도 같은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렉산더는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계속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중단되어야 한다"면서 "정책 결정의 2차, 3차 효과에 대한 미국의 고려가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중국은 미국이 하는 만큼 대응할 수 있으며, 직접 행동에 나설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지난 6개월 동안 미국이 어떤 교훈을 얻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미디어펜=김종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