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권동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줄곧 ‘국민 통합’과 ‘협치’를 강조하고 있지만, 통합 메시지와는 달리 여야의 갈등과 강경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내란 프레임’을 앞세운 강경 입장에 국민의힘도 강성 대응으로 맞불을 놓으면서 실질적 협치는 날개를 펴지 못한 상태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내란 프레임’을 앞세워 초강경 대여 투쟁을 이어가는 가운데 국민의힘도 강성 대응으로 맞불을 놓으며 극한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책임론을 거론하며 국민의힘과 협력을 거부하고, 내란 특별법 제정과 위헌 정당 해산까지 언급하는 등 강경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국민의힘은 입법 폭주라고 맞서면서 협치 가능성을 더 좁히고 있다.
|
 |
|
▲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지도부와 오찬 회동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이 대통령,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2025.9.8./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아울러 민주당 내부에서 정청래 민주당 당대표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맡고 있는 추미애 의원의 강경 노선이 정치적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당 지도부와 상의 없이 강행된 추 의원의 조희대 대법원장 인사청문회에 당내 갈등설도 제기됐지만, 정 대표는 추 의원을 공개적으로 두둔하며 갈등설에 선을 그었다.
또한 이 대통령의 유엔 순방과 청년의 날 행사 등 정책 메시지가 민주당의 고강도 대여 투쟁과 ‘내란 프레임’ 대립에 모두 묻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과 정부의 불협화음으로 대통령만이 홀로 민생에 매달리는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는 평가다.
국민의힘 역시 강성 대응을 이어가며 여야 모두 강경 정치가 격화되는 모양새다.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 체제 이후 당내 강경파 결집, 대규모 장외집회, 무제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등 원내외 투쟁 수위를 대폭 끌어올렸다.
실제 국회 본회의 등 주요 일정마다 여야의 날 선 충돌이 이어지고, 국민의힘은 집회와 성명을 통해 이재명 정권의 독단과 폭주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양극화된 진영 결집에 민생·정책 논의는 실종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민 통합·협치를 내세운 이 대통령 구상과 달리, 여야 모두 협치보다 갈등을 선택하면서 정치권 강대강 구도가 고착화된다면 정치권 전반은 물론 이 대통령과 정부 지지율마저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