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경찰이 한국인 납치로 문제가 된 캄보디아 내 범죄 단지 시아누크빌에 '코리안데스크'(한인 사건 처리 전담 경찰관)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
 |
|
▲ 지난 14일(현지시간) 오후 캄보디아 시하누크빌 상가 건물에 현지어와 함께 중국어 간판이 붙어 있다. 2025.10.14./사진=연합뉴스 |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캄보디아 지역 치안 대응 계획'에 따르면 경찰은 현지 파견 경찰관을 기존 3명(주재관 1명·협력관 2명)에서 8명으로 늘리는 방안을 마련했다. 납치·감금 사건 대응을 위해 최소 5명은 증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먼저 납치·감금이 빈발하는 시아누크빌에 코리안데스크를 설치해 경찰관 2명이 배치된다. 이들은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을 전담한다. 코리안데스크는 대사관에서 근무하는 주재관이나 협력관과 달리 현지 경찰기관에서 근무하며 신속한 수사 공조를 할 수 있다.
대사관에는 경찰주재관 1명, 협력관 2명 추가 투입이 논의되고 있다. 대사관에 파견돼 사건·사고를 담당하는 이들은 최근 업무량 폭증에 시달리고 있다.
경찰협력관의 올해 1월∼8월 활동 현황을 보면 검거지원 110명, 송환지원 70명, 국제공조 자료 수집 및 사실확인 100건, 잠복·추적 등 3건 등을 단 1명이 맡았다.
경찰주재관들도 활동 중이다. 지난 8월에는 범죄단지 내 감금 피해자 14명, 통장 판매를 위해 범죄단지로 향하던 지적장애 피해자를 구출한 바 있다.
한편 경찰청이 올해 1월∼10월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을 통해 캄보디아에 납치·감금 사건 관련 공조를 요청한 사건은 3건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8월까지 들어온 감금 신고 330건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감금 관리직을 하던 한국인의 캄보디아 내 체류 여부, 감금 피해자의 현지 병원 진료기록(손가락 절단)·경찰 신고이력 등 2건에 대해서는 회신이 이뤄졌다. 그러나 감금 피해자의 캄보디아 내 최종 접속 IP는 현재까지 미회신 상태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