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새벽 프놈펜 출발 인천에 도착…피의자 신분으로 압송돼 법적 절차
온라인스캠 연루 추정 한국인 1000여명…코리안데스크 설치해 추가 단속
위성락 “현지 당국 협조 중요, 풍선효과 대비…상당기간 해야 성과 나올 것”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캄보디아 당국의 온라인 스캠(사기성 범죄) 단지 단속으로 현지에서 적발·구금됐던 한국인 60여명이 17일 자정(현지시간) 프놈펜에서 우리 전세기를 통해 송환된다. 

이들은 우리 측의 체포영장 발부 대상으로 피의자 신분으로 송환돼 귀국한 즉시 경찰 조사를 받게 된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7일 오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캄보디아에서 검거된 한국인 피의자들은 우리 시간으로 내일 새벽 프놈펜에서 비행기로 출발해 인천으로 온다”며 “이들을 호송하기 위해 우리 경찰 인력을 태운 전세기가 인천을 출발한다. 호송 인력이 피의자보다 훨씬 많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호송되는 한국인들은 모두 체포영장이 발부돼 체포된 상태의 피의자 신분이므로 그에 맞는 상태로 호송될 것이고, 귀국해서도 그에 맞는 법적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캄보디아에 구금된 한국인 2명이 국적기를 통해 송환된 17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이민청의 모습. 2025.10.17./사진=연합뉴스

이어 “한국으로 데려오려는 사람들 중에 기존 수배 대상인 사람도 있다. 적색수배자가 있다”면서 다만, 구체적인 혐의까지는 알고 있지 못하다고 했다.

또 “앞서 중국 역시 비슷한 상황에서 캄보디아에 전세기를 보내 범죄 피의자들을 송환한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이번에 정부가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경찰청, 국가정보원 등이 참여하는 합동대응팀을 캄보디아에 파견한 조치는 일단락된다. 

그동안 정부합동대응팀은 지난 16일 프놈펜에서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를 만나 구금된 한국인 60여명의 송환 문제와 재발 방지 대책을 집중 협의했다. 이어 총리실 산하 ‘온라인스캠 대응위원회’ 사무총장을 만나 캄보디아에서 외국인 대상 범죄 근절을 위한 정보공유 체계 구축과 합동 단속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캄보디아 온라인 스캠에 연루된 한국인들이 1000여명에 달한다고 정부가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 검거되지 않았거나 범죄에 연루됐다가 실종된 한국인들이 많이 남아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해 위 실장은 “남아 있는 범죄 연루자들의 처리 문제가 중요한 과제라서 코리안데스크(한인 사건 처리 전담 경찰관)나 태스크포스(TF)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현지에 우리 측 인력을 추가하고, 캄보디아 당국과 협조해 남아 있는 한국인 범죄 연루자들을 원활하게 단속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검거하고 단속하는 과정에서 범죄 혐의자가 있을 것이고, 본의 아니게 붙들려 온 사람도 있을 테지만 그래서 그(범죄를 적발해서 구분해나가는) 작업을 계속 할 것이고, 그들을 데려오는 것도 계속해야 한다. 상당 기간 진행해야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전은수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의 캄보디아 한국인 대상 범죄 관련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2025.10.16./사진=연합뉴스

아울러 위 실장은 캄보디아에서 단속이 강화될 경우 범죄자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갈 것이란 우려에 대해서도 “그런 풍선효과에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정부대응팀이 그럴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캄보디아 당국과) 논의하고 있지만 정부대응팀의 활동에 한계가 있으므로 캄보디아 당국의 협조를 요청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만약 캄보디아 외 지역에서도 지금과 같이 유사한 한국인 체포가 있다면 그들을 국내로 송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위 실장은 캄보디아에 추가로 전세기를 투입해 현지에 남아 있는 범죄 연루자 등을 한국으로 추가 송환할 가능성도 열어뒀다.

한편, 이번 송환 대상은 캄보디아 수사당국에 구금돼 있던 한국인 60여명 전원으로, 전날까지 59명으로 알려졌던 데 비해 다소 증가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