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부동산 대책 후속 조치…보유세 인상 가능성은 선 그어
[미디어펜=조태민 기자]정부와 여당이 이르면 연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자치구별·연도별 주택 정밀 공급 계획을 발표할 전망이다. 이는 '10·15 부동산 대책' 후속 조치로, 초강력 규제에 따른 '사다리 걷어차기' 비판을 돌파하고 실수요자 공급 대책을 구체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 당정이 연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택 정밀 공급 계획을 발표할 전망이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9월 발표한 '5년간 135만호 공급(9·7 대책)'을 큰 틀로 유지하되, 이번에는 구체적인 연도별·자치구별 공급 수치를 지도 형태로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의 경우 25개 자치구 전역에 걸쳐 '○○구에 ○년까지 ○가구가 공급된다'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여기에는 재개발·재건축을 통한 신규 분양 주택은 물론 공공 임대주택 등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공급 대책으로는 공공청사나 학교, 버스 차고지 등 유휴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수도권 의원들도 각자 지역구별로 활용할 수 있는 유휴 부지를 조사해 당과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를 통해 "유휴 부지는 서울·수도권에서 어느 정도 확보되는 것으로 안다"며 "다만 인구 집중 문제가 있기에 유휴 부지를 확보했다고 해서 다 활용할 거냐 혹은 유휴 부지가 충분하냐는 별개 문제"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재건축·재개발 완화 관련 법·제도 정비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기존에는 사업시행계획·관리처분계획 등 인허가를 단계별로 따로 받던 절차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등을 담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을 연내 정기국회에서 처리한다는 목표다.

개정안이 이미 발의된 데다 소관 상임위인 국토교통위 위원장이 민주당인 만큼 법안 심사를 시작하면 처리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민주당은 보고 있다.

당의 이 같은 조치는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 대한 초강력 규제로 민심이 동요한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특히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연말·연초까지 정책 효과가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기회만 날렸다는 이른바 '사다리 걷어차기' 비판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서울 지역구 의원들이 이번 세부 공급 대책 검토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민주당은 일각에서 거론되는 부동산 보유세 인상 가능성에 대해서도 일단 선을 그었다.

김 원내대표는 "부동산 보유세와 관련해 당의 공식적 입장은 안 나왔다"며 "보유세 인상을 포함한 부동산 문제는 국민적 감정이 굉장히 집중되는 과제이기에 정부가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