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삼성생명의 '일탈회계' 논란과 관련해 "국제 회계기준에 맞게 정립하자고 내부적으로 조율된 상태"라고 밝혔다.
| |
 |
|
|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삼성생명의 '일탈회계' 논란과 관련해 "국제 회계기준에 맞게 정립하자고 내부적으로 조율된 상태"라고 밝혔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이 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에 대해 금감원이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고 지적한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삼성생명은 1980~1990년대 유배당 보험 상품을 판매하며 가입자들이 납입한 돈으로 삼성전자 지분 8.51%를 매입했다. 삼성생명은 계약자에게 돌아갈 배당금을 재무제표상 '보험부채'가 '계약자지분조정'이라는 별도 부채항목으로 분류했는데, 금감원은 새 보험회계기준인 IFRS17 도입을 앞둔 지난 2022년 말 예외적으로 삼성생명의 회계처리방식을 인정한 바 있다. 이에 삼성생명이 국제회계 원칙에 맞지 않는 '일탈회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원장은 질의회신 방식으로 발표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외에도 이날 국감장에서는 '회계기준원 원장 선임 중단' 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2일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추천위원회는 차기 원장 선임 논의를 중단했는데, '외부 개입'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금융위원회가 신임 원장 추천을 중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관료 출신 '낙하산' 인사를 앉히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전날 원장추천위원회로부터 재개 통보를 받았다"며 "우려가 없도록 금융감독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