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자기사람 참모로 구축…오너 있는 제조업체나 다름 없어"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BNK금융지주의 회장 선임 절차에서 특이한 면들이 많이 보여 계속 챙겨보고 있다"며 "문제가 있는 소지가 있으면 수시검사를 통해 문제점을 바로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BNK금융지주의 회장 선임 절차에서 특이한 면들이 많이 보여 계속 챙겨보고 있다"며 "문제가 있는 소지가 있으면 수시검사를 통해 문제점을 바로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BNK금융) 회장 선임 내용조차 직원들 사이에 쉬쉬하며 깜깜이로 절차적 정당성에 상관 없이 했다"며 "금융지주 회장을 뽑는 중요한 자리에 이런 식으로 해도 되겠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상황·절차적으로 특이한 면들이 많이 보여서 계속 챙겨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BNK금융 이사회는 지난 1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16일까지 후보군 접수를 마감했다. 추석연휴 기간인 12일을 제외하면 영업일 기준 후보등록 접수 가능기간이 4일에 불과했던 셈이다. 과거 BNK금융은 회장 선임에 약 2개월 간 절차를 진행한 바 있는데, 과거와 상반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현재 상황에서 보면 내부적인 형식적 절차의 적법성이 있을지 모르겠는데 문제가 있는 소지가 있으면 수시검사를 통해서 문제점을 바로 잡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연임 및 3연임 등을 희망하는 금융지주 회장을 타깃해 회장 선임절차에 대한 제도개선도 시사했다. 이 원장은 "지배구조 모범 관행 가이드라인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이번에도 은행 라인을 통해 공통적으로 연임이나 3연임과 관련해서는 내부통제를 좀 더 강화하는 내용으로 방침을 보내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지주회장이 되면 이사회를 자기 사람으로 해서 일종의 참모를 구축하시는 분들이 보인다"며 "오너가 있는 제조업체나 상장법인과 별 다를 게 없다. 고도의 금융 공공성이 훼손될 수 있어 이런 부분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 시 제도 개선에 관련해 정무위 의원들과 상의할 기회가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