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값이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5.5% 급락했다.

[미디어펜=김종현 기자] 끝없이 치솟던 금값이 급등 피로감과 차익실현 분위기로 급락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5.5% 떨어진 4115.26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0년 8월 이후 5년여만에 가장 큰 하루 낙폭이다. 12월 인도분 금 선물도 온스당 4109.10 달러로 5.7% 하락했다. 

이날 금과 함께 백금은 5.9%, 팔라듐은 5.3% 각각 동반 급락했다. 

금 현물 가격은 지난 20일 온스당 4381.2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올해 들어 약 60% 상승했다. 이는 지정학적·경제적 불확실성, 금리 인하 기대,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매입에 힘입은 것이었다.

하지만 이날은 달러 강세와 중국과의 무역갈등 해소에 대한 기대감, 정부 셧다운의 종료 가능성에 투자자들의 차익실현 욕구가 겹치면서 큰 폭으로 내렸다.

귀금속 트레이더인 타이 웡은 CNBC에 "어제까지만 해도 금 가격 하락 시 매수세가 있었지만, 최근 고점에서의 급격한 변동성은 경계 신호를 보내고 있으며, 단기적인 차익 실현을 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귀금속 온라인 소매업체인 키트코 메탈스(Kitco Metals)의 수석 애널리스트인 짐 와이코프는 "이번 주 초 시장 전반의 위험 선호 심리가 안전자산인 금속에 대해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씨티의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정부 셧다운 종료와 미중 무역 합의 발표가 투자 심리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는 금 가격에 추가적인 하락 압력을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기술적 관점에서도 하락 압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은 4시간 차트에서 더블 톱 패턴을 형성했으며, 넥라인을 하향 돌파했다. 이 패턴에 따라 예상되는 목표 가격은 온스당 약 4,020달러로, 금 가격의 하락이 아직 끝나지 않았을 수 있으며 추가 하락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데이터 전문기업인 오안다(OANDA)의 고객 심리 데이터를 보면, 전체 트레이더의 76%가 금을 매수 포지션인 '롱(Long)'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는 금 가격이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디어펜=김종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