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정부가 강력한 대출규제와 규제지역 확대로 수도권 부동산 시장 옥죄기에 나서면서 침체됐던 지방 부동산 시장이 반사효과를 얻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특히 신축 아파트 분양에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데 정말로 그럴지는 미지수다.
| |
 |
|
| ▲ 수도권 부동산 규제 강화로 청약 등 지방 부동산 시장이 되살아날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사진은 부산 시내./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2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택담대출을 제한한 6.27 대책 이후 지방 일부 지역에서 아파트 거래 시 신고가가 나오고 있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위브더제니스는 226㎡(이하 전용면적)는 지난 7월 43억5000만 원에 거래돼 이전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지난달 충북 청주시 가경 자이 84㎡는 6억2000만 원으로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5일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도 등 12개 지역으로 규제지역을 확대하면서 수도권 수요가 지방 부동산 시장을 찾을 것이라는 기대 섞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지방 청약시장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부동산 청약홈에 따르면 이달 공급한 청주 롯데캐슬 시그니처의 경우 일반분양 평균 경쟁률 6.07대 1로 흥행에 성공했다. 지난 9월 분양에 나선 베뉴브 해운대는 일반분양 415가구에 9150명이 몰려 22대 1의 경쟁률로 흥행 대박을 맛보기도 했다.
하지만 지방 단지들의 청약 성적이 '전반적'으로 좋아질 것이라기에는 무리가 있다. 수도권 일부 수요가 지방 청약에 나설 수는 있으나 선별 전략으로 나설 것이기 때문이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여유자금을 지방으로 이끌기 위한 세제혜택이나 대출 완화가 없는 상황"이라며 "직주근접 등 해당 단지 매력적인 요소가 없으면 지방 청약시장 활황은 어렵다"고 지적했다.
현재 정부는 얼어붙은 지방 부동산 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지방 83개 지역을 대상으로 기존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 주택을 사면 1주택자에 준하는 세제 혜택을 주는 '세컨드홈' 정책을 지난해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정도 수준의 인센티브로는 지방에 주택을 취득할 매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인구감소지역으로 공인된 곳에 집을 사는 용감한 사람이 얼마나 있겠느냐"라며 "양질의 일자리와 교육, 주거 인프라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서울로 이동하는 인구유출을 막지 않으면 지방은 미래가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10.15 이후 부산과 경북 구미에서 각각 분양에 나선 더파크 비스타동원과 두산위브더제니스 구미는 희비가 갈렸다. 더파크 비스타동원은 일반분양 835가구에 고작 75명만 신청해 0.09대 1의 경쟁률로 참패를 맛봤다.
반면 두산위브더제니스 구미는 261가구에 2301명이 신청, 평균 경쟁률 8.82대 1로 선전했다. 두산위브더제니스 구미의 경우 단지가 국가산단과 이웃하고 있어 직주근접성이 뛰어났기에 수요자들이 몰렸다는 평가다. 이처럼 일자리, 인프라 등을 갖춘 곳이 아니라면 지방 청약시장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