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까지 수혜기업 4곳 불과…국감 앞둔 9월 42%까지 급증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미국 관세 충격에 대비해 마련한 한국산업은행의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이 초기 두 달간 0.5%의 집행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정감사를 앞둔 9월에 지원실적이 급증했는데, 초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자금 밀어내기식 집행'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 미국 관세 충격에 대비해 마련한 한국산업은행의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이 초기 두 달간 0.5%의 집행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정감사를 앞둔 9월에 지원실적이 급증했는데, 초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자금 밀어내기식 집행'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 신설 이후 8월까지의 지원 실적은 단 4개 기업, 150억원에 그쳤다. 이는 집행률 0.5%에 불과한 실적이다. 

앞서 산은은 올해 5월 국내 수출기업들이 겪을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가경정예산 500억원을 신규 편성받아 3조원 규모의 해당 프로그램을 신설한 바 있다.

2개월 간 실적 부진 이후 9월부터 산은은 기업별 지원한도 상향과 금리인하 폭 확대 등 제도 개편을 단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소기업의 지원한도는 기존 3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중견기업은 50억원에서 500억원으로 각각 상향했다. 또 신규로 대기업 지원을 추가해 한도를 1000억원으로 설정했다. 이와 함께 금리인하 폭은 최대 0.2%p에서 0.5%p로 확대했다. 

이에 힘입어 9월 지원실적은 107개 기업에 1조 2510억원이 집행돼 누적 집행률 42.2%를 기록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유 의원은 "초기 집행 부진과 9월 초의 급격한 프로그램 개편은 피해예상기업에 대한 수요조사 등 사전 준비가 미흡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유 의원은 "미국 관세위기로 인해 수출기업 피해가 코 앞인데 정작 자금은 책상 위에만 머물러 있었다"며 "추경을 통해 신속 대응을 목표로 만든 프로그램이 초기 두 달간 사실상 멈춰 있었다는 것은 피해예상기업 수요조사나 준비가 부족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9월 실적 급증은 국정감사를 앞두고 초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자금 밀어내기식 집행'으로 비칠 수 있다"며 "관세 부담은 대기업보다 자금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2차 벤더기업에 더 큰 타격을 주는 만큼, 대기업 편중을 방지하고 중소기업 중심의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